1. 흑석동의 부촌 이미지에 상반되는 건물, 인프라 부실
2. 흑리단길 내 상하수도 내 악취문제
3. 흑리단길 입구 내에 쓰레기 처리장은 흑리단길에 대한 인식을 저해한다.
4. 용리단길과 비교하였을 때 입구 출구가 폐쇄적
5. 길이 혼잡, 복잡
6. 길가 위쓰레기 문제
7. 조화의 측면에서 주택과 상가들의 난잡
8. 상가들간의 조화 측면에서도 난잡
9. 타겟팅의 모호성
10. 흑석역으로 올라가는 언덕이 오히려 흑리단길의 시야를 많이 방해
1. 흑석동은 옛부터 부촌의 이미지이다. (마크힐스 등) 하지만 그에 반하는 건물 등 인프라적 측면에서 타지역 ~리단길 보다 많이 부실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 처음 흑석동 내 악취의 원인이 쓰레기 처리장에 의한 것이라고 생각하였지만, 조사 이후 흑리단길 내 하수도의 악취 또한 심각하였다.
3. 흑리단길 입구 앞 쓰레기 처리장은 이곳이 ~리단길이라는 인식을 저해한다. 오히려 생각을 바꾸어서 흑리단길 입구 부분을 재설정하는 부분 또한 고민해볼만한 가치가 있다고 생각한다.
근거2
4. 흑리단길의 입, 출구는 굉장히 폐쇄적이다. 자동차로 들어가더라도 1차선이기 때문에 사람들이 걸어다닐 수 있는 공간의 부족이 흑리단길의 발전 저해에 큰 요인이라고 생각한다.
5. 처음 흑리단길을 갔을 때 미로와 같았다. 어떤 가게를 찾으러갈 때만 카카오맵, 네이버 지도를 사용하였는데 입,출구를 찾기 위해 어플을 사용한 경험으로 인해 입출구를 재정의해서 더욱 단순하게 만들어본다면 어떨까라는 생각을 하였다.
근거3
7. 노포 분위기를 좋아하는 사람들 또한 있겠지만, 조화의 측면에서 상가와 주택이 우후죽순 섞여있다면 길거리 미관을 저해한다고 생각한다.
8. ~ 공업소, 미용실 등 컨텐츠를 즐기기 위한 장소가 아닌 사업체들이 존재했다. 길거리 미관을 해친다고 생각한다.
9. 20대가 다수인 중앙대 학생들에겐 비싼 가격, ~리단길이 젊은 사람들의 향유물은 아니지만 길거리가 활성화 되기 위해서는 길거리의 활기를 돋울 수 있는 젊은 사람들이 애용할 수 있는 가격대가 형성 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였다.
근거4
10. 흑리단길을 외지게 만들고 그것의 시야를 가리는 가장 큰 요인은 흑석역으로 올라가는 큰 언덕이라고 생각한다. 이 부분은 언덕을 활성화하는 방법을 통해 해결하면 좋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근거의 출처를 보고서, 통계나 논문, 기사 등을 어디에서
찾았는지 URL을 기재해주세요
또는 직접 실시한 인터뷰, 설문조사, 관찰결과 등 직접 작성한
문서(hwp, doc, 메모장 등 텍스트 문서)를 업로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