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실록지리지

문제발굴

지역에서 문제라고 생각되는 것에 대한 주장과 주장을
설명하는 부연설명을 기재해주세요.
주장

해리단길은 조금 더 트렌디해야 한다.

부연설명

1. 인근 지역인 광안리와 비슷한 조건을 지녔음에도 불구하고, 광안리에는 매년 외부인 유입이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해운대는 잠만 자는 곳이라는 인식이 팽배

2. 대형마트들의 부지 판매 이후 일괄적인 초고층 주상복합 건물 건설

3. 관광객에 초점이 맞추어진 식당가

위치

48095

부산 해운대구 해운대로 지하 626 (우동, 부산지하철 해운대역) 해리단길

구성원
  • 이름박상혁
해시태그
주장의 객관적 근거를 기재해주세요.
근거1

1. 해운대와 광안리는 모두 해수욕장을 지닌 비슷한 조건을 지니고 있다. 하지만 광안리는 매년 이곳을 방문하는 사람들이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해운대는 그렇지 않다. 광안리가 더욱 젊고, 활기찬 분위기의 음식점, 카페 거리를 조성한 반면 해운대는 관광객 초점의 음식점과 카페가 많다. 더욱이 젊은 세대 관광객들은기존 관광객 초점의 음식점을 찾아가는 것 보다, 그 지역의 특색을 느낄 수 있는 광안리를 선호하고 해운대는 숙소의 이미지로 굳어질 수 밖에 없었다고 생각한다.

근거2

2. 홈플러스 등 전국에서 매출 순위권에 드는 대형 점포들마저 폐점하며 거주민 그리고 관광객 들에게도 많은 불편을 주었다. 대형 마트 철수 이후 조금 더 복합상가와 같은 지역의 랜드마크로 발돋움할 수 있게끔하는 요소의 설립이 중요한데, 현재는 초고층 주상복합 건물의 건설은 과연 해운대로의 유입을 이끌만한 매력적인 요소가 될 것 같진 않아보인다.

근거3

3. 지난 8월 해운대 뒷편에서 밥을 먹게 되었는데, 상점들은 굉장히 많았다. 하지만 가게들의 특색 보다는 관광객들 위주의 식당가가 대부분이었으며, 이들의 가격 또한 적지는 않았다. 이곳의 특색이 있는 가게를 가기 위해 30여분을 걸어야 할 정도로 굉장히 멀었던 기억이 있었다.

근거의 출처를 보고서, 통계나 논문, 기사 등을 어디에서
찾았는지 URL을 기재해주세요
또는 직접 실시한 인터뷰, 설문조사, 관찰결과 등 직접 작성한
문서(hwp, doc, 메모장 등 텍스트 문서)를 업로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