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실록지리지

문제발굴

지역에서 문제라고 생각되는 것에 대한 주장과 주장을
설명하는 부연설명을 기재해주세요.
주장

젠트리피케이션이 휩쓸고 간 망리단길

부연설명

망원동의 '망'자와 경리단길의 '~리단길'을 합쳐 생겨난 '망리단길'은 인접한 홍대, 합정, 상수의 임대료를 감당하지 못하고 망원시장 뒤의 주택가로 상권이 이동하면서 생긴 거리이다. SNS와 각종 매체를 통해 20~30대 고객들에게 각광받던 망리단길은 젠트리피케이션을 비롯한 다양한 문제로 기존 주민들에게 피해만 안긴 채 다시 그 상권이 지고 있다.

'망리단길'의 주요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1. 젠트리피케이션
2. 단일 골목의 형태
3. 망리단길 이용객과 주민간의 마찰

위치

04010

서울 마포구 망원동 411-23 망리단길

구성원
  • 이름유수상
해시태그
주장의 객관적 근거를 기재해주세요.
근거1

먼저 망리단길의 가장 큰 문제점은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이다. 상권 이동 및 SNS 유행을 통해 단 기간에 급성장한 망리단길은 젠트리피케이션 현상도 급속도로 나타났다. 특히 2015~2016년 1년간 3.3㎡당 마포상권 순수 임대료 상승률은 망원동 21.1%로 합정동 16.6%, 상수동 6.49%로 망원동의 상승률이 두드러졌다.

근거2

다음으로 망리단길은 주요 골목이 단일 골목의 형태라는 점을 문제점으로 갖고 있다. 단일 골목 형태의 상권은 메인 골목에 상권이 집중되어 있고 세부 골목들은 상권이 충분히 형성되지 않는 형태이다. 골목 상권의 경우에는 단일 골목의 형태보다 방사형으로 골목 깊숙이 상권이 형성될 때 그 생명력이 길어진다. 그러나 망리단길의 경우는 1km가 좀 넘는 단일 골목에 다양한 업종이 집중되어 있어 업종 집중성이 떨어지고 이로 인해 망리단길 만의 고유한 느낌이 옅어지게 되었다.

근거3

마지막 문제점으로 이용객과 기존 주민간의 마찰 문제가 존재한다. 망리단길은 상권이 주택가로 이동하여 형성되었기 때문에 기존 주민들과 밀접한 상권이다. 그렇기에 주민들은 망리단길에서 생겨나는 문제들에 대해 민감할 수 밖에 없다. 망리단길 이용객들의 쓰레기 투척, 흡연 및 소음 공해는 기존 주민들에게 직접적으로 피해를 주고 있으며 이는 주민들에게 망리단길이 달갑지 않은 이유로 손꼽히고 있다.

근거의 출처를 보고서, 통계나 논문, 기사 등을 어디에서
찾았는지 URL을 기재해주세요
또는 직접 실시한 인터뷰, 설문조사, 관찰결과 등 직접 작성한
문서(hwp, doc, 메모장 등 텍스트 문서)를 업로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