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실록지리지

문제발굴

지역에서 문제라고 생각되는 것에 대한 주장과 주장을
설명하는 부연설명을 기재해주세요.
주장

광주광역시 내 불법 투기 쓰레기 문제가 심각하다.

부연설명

문화.예술의 도시라 불리는 광주광역시의 소개와 달리 광주 내 유동인구가 많고 관광객이 많이 다니는 곳에는 불법 투기 쓰레기가 많이 보인다.
불법 투기 쓰레기는 도시의 미관을 해치고 악취를 발생시켜 오고싶지 않는 거리라는 인식을 주게 된다.
이러한 불법 투기 쓰레기를 없애기 위해 광주시에서 많은 시도를 해왔지만 쓰레기 불법 투기를 줄이지는 못했다.

위치

61485

광주 동구 문화전당로 38 (광산동, 아시아문화전당) 아시아문화전당, 광주 충장로 길

구성원
  • 팀명

    ABC Marketing

  • 팀장

    강유나

  • 팀원

    안지희, 강민채, 전주이, 류시원

주장의 객관적 근거를 기재해주세요.
근거1

광주광역시 거주지 환경문제 통계에 따르면 대기오염, 수질오염, 쓰레기 문제, 소음 및 진동, 녹지훼손 등의 환경문제 중 쓰레기 문제가 가장 심각하다고 인식하는 비율이 가장 많았다.
그 중에서도 거주지가 단독주택, 연립.다세대주택인 시민들이 각각 39.6%, 26%로 아파트 거주 시민(21.1%)에 비해 높은 비율을 보여주었다. 광주광역시에서 단독주택과 연립.다세대 주택이 모여있는 거리는 동명동, 양림동 등 유동인구가 많은 거리인 경우가 많다.
이를 통해 광주광역시의 불법 투기 쓰레기 문제는 보는 이들, 그중에서 주변 거주자들이 생활 속에서 보기에 심각한 상황임을 알 수 있다.

근거2

광주광역시는 불법 투기 쓰레기를 없애기 위해 쓰레기 상시 불법 투기 장소를 선정하여 쓰레기 불법 투기 방지 로고 라이트, 클린지키미 등을 운영하였다.
쓰레기 무단투기 방지 로고 라이트는 쓰레기 무단투기를 금지한다는 문구가 담긴 라이트를 거리 바닥에 보여주어 시민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것이다.
클린지키미는 쓰레기 무단투기를 금지한다는 음성 안내와 동시에 CCTV 촬영 사실을 알려주어 불법 투기 쓰레기를 방지하고자 하는 것이다.
두 방식은 일부 지역에서는 눈에 띄는 효과를 보여주었기도 하지만 광주광역시에서는 좋은 효과를 보여주지 못하였다.
관찰조사 결과에 따라 광주 내 쓰레기 무단투기 방지 라이트와 클린지키미가 있는 곳에는 아직도 많은 양의 쓰레기가 버려져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근거3

광주광역시는 2019년 - 2021년 말 사이 총 57개의 쓰레기통이 감소하였다. 2021년을 기준으로 광주 동구 58개, 서구 113개, 남구 85개, 북구 150개, 광산구 144개의 쓰레기통이 설치되어있으며 쓰레기통이 오히려 거리의 미관을 해친다는 시민들의 민원으로 총 153개의 쓰레기통이 사용되지 않고 보관되고 있을 정도이다.
기존에도 많지 않던 쓰레기통이 점점 사라지며 쓰레기를 버릴 곳을 찾지 못한 사람들이 거리에 쓰레기를 더 많이 버리게 되었다. 광주환경운동연합회에서 제공하는 자료를 보면 쓰레기 불법 투기는 쓰레기통의 부재로부터 시작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쓰레기통을 다시 설치하면 되는 간단한 문제이지만 쓰레기통이 거주지역 주변에 생길 시 주변 상가의 쓰레기 투기 문제, 쓰레기양 증가로 인한 도시 미관 문제를 우려삼아 쓰레기통 설치를 반대한다는 사람들때문에 쓰레기통을 설치하기 쉽지 않다.
그럴듯한 이유를 보여주고 있지만 실제로는 거주 지역 주변에 님비 시설물인 쓰레기통을 만들기 싫은 님비현상의 대표적인 현상으로 볼 수 있다.
쓰레기통을 재설치하기 힘든 현 상황때문에 쓰레기 불법 투기 문제를 쉽게 해결하기는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근거의 출처를 보고서, 통계나 논문, 기사 등을 어디에서
찾았는지 URL을 기재해주세요
또는 직접 실시한 인터뷰, 설문조사, 관찰결과 등 직접 작성한
문서(hwp, doc, 메모장 등 텍스트 문서)를 업로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