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저 용리단길은 F&B에 너무 치우쳐져 있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요식업종의 평균 유지 년 수가 평균 4년 정도인데 이와 같은 F&B 치중 상권은 트렌드 변화 및 환경적 요인에 의해 쉽게 무너지거나 변화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골목 상권에 오래 머무르게 하기 위해서는 연계 소비가 이루어져야 하는데 F&B에 치중되어 있는 상권 형태는 점심 혹은 저녁 식사 이후 다른 상권으로 고객층이 이동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용리단길에는 F&B 이외의 다른 컨텐츠의 유입이 필요한 상황이다.
근거2
또한, 용리단길은 고정 고객층이 부족하여 매출이 일정하지 않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용리단길이 속한 용산은 서울권 내 거주 인구가 최하위이며 용리단길의 상권은 거주민 친화 상권이라기 보다는 외부 유입을 노리는 상권의 형태로 개발되었다. 그렇기에 현재 진행중인 청와대 이전 재검토와 같은 외부적인 요인에 상권이 흔들릴 가능성이 있고 현 용리단길 상권에 입주한 상인들은 외부적 요인에 대해 늘 걱정할 수 밖에 없다.
근거의 출처를 보고서, 통계나 논문, 기사 등을 어디에서
찾았는지 URL을 기재해주세요
또는 직접 실시한 인터뷰, 설문조사, 관찰결과 등 직접 작성한
문서(hwp, doc, 메모장 등 텍스트 문서)를 업로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