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실록지리지

문제발굴

지역에서 문제라고 생각되는 것에 대한 주장과 주장을
설명하는 부연설명을 기재해주세요.
주장

처인구는 용인시의 지역 불균형 정책으로 인해 지역 낙후가 심화되고 있다.

부연설명

용인시의 동-서로 나뉜 도시 양극화는 극명하다.
용인시의 지역자원, 공공시설 배치, 공공사업의 불균등한 시행 등 불균형한 개발 정책의 결과로 동부지역의 낙후는 심화되어가고 있다.
인구,보건-의료분야,복지, 교육,교통,문화 등 전 분야에 걸쳐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고령화가 심해짐에 따라 처인구의 일부 마을들은 붕괴의 위험에 처해있다. 또한 기본적인 도시기반시설이 미비하다. 국가철도나 국지도 연결문제가 이슈일 정도이다.

위치

17049

경기 용인시 처인구 금령로 50 (김량장동, 처인구청) 처인구 지역 전체

구성원
  • 이름이재도
주장의 객관적 근거를 기재해주세요.
근거1

용인시의 지역 불균형 개발 정책

-수지구와 기흥구 중심 개발
-이후 인구 밀집 지역이 된 수지구와 기흥구의 투표 인구 밀집으로 예산 책정
- 40년 된 낡은 처인구청, 예산 부족

근거2

처인구의, 보건-의료분야 양극화 문제

-용인시 80%의 면적의 처인구, 병원 수는 20%
-처인구 남이생활권, 백원생활권의 의료시설에 대한 접근성 특히 떨어짐. 각각 관내 병.의워 2.2%, 1.1% 위치
-처인구 약국 1곳당 인구수 3084명

근거3

처인구의 교육, 인구, 교통 양극화 문제

- 학령인구의 순유출 (초등 126, 중등 173, 고등 122)16년기준
- 수지구에 위치한 중‧고등학교의 교통 인프라 점수평균 55점, 기흥구는 37점, 처인구는 29점
- 구별 교육만족도 평균점 처인구 5.9점으로 최하위

근거4

처인구 내 마을들의 문제

- 처인구 백암면과 원삼면
65세 이상 비율 각각 31%, 30%
노령화 지수, 노년 부양비 1위, 2위
- 초고령사회
- 마을공동체붕괴

근거의 출처를 보고서, 통계나 논문, 기사 등을 어디에서
찾았는지 URL을 기재해주세요
또는 직접 실시한 인터뷰, 설문조사, 관찰결과 등 직접 작성한
문서(hwp, doc, 메모장 등 텍스트 문서)를 업로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