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실록지리지

문제발굴

지역에서 문제라고 생각되는 것에 대한 주장과 주장을
설명하는 부연설명을 기재해주세요.
주장

교내 일회용 플라스틱 컵 사용 문제가 심각하다.

부연설명

교내 카페에서는 무조건적으로 일회용품을 사용해야한다. 또한 학교 근처 카페에서 테이크아웃으로 소비되는 일회용품의 양도 많다. 도서관, 학생회관, 각 건물 1층에는 사용 후 버려지는 일회용품으로 쌓여 위생적으로나 미관적으로 문제가 있어 학생과 교직원들이 불편을 호소하고 있다. 많은 플라스틱 사용은 환경에 부담을 주며 이를 처리하기 위한 사회적인 비용도 상당하다.

위치

01811

서울 노원구 공릉로 232 (공릉동, 서울과학기술대학교) .

구성원
  • 팀명

    서울과기대 소셜벤처와 ESG 전략 7조

  • 팀장

    이유리

  • 팀원

    김태완, 양시은, 이준희, 채서영, 김채연

주장의 객관적 근거를 기재해주세요.
근거1

2017년 대비 2020년 일회용 플라스틱 컵 소비가 가장 많이 증가했다. 일회용 플라스틱 컵은 2017년 65개에서 2020년 102개로 무려 56.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근거2

플라스틱 컵, 종이컵 등 과도한 일회용품 사용으로 인해 자원 낭비 및 환경 오염이 심각해지자 환경 보호 및 자원 절약 등을 위해 2022년 4월 환경부에서는 매장 내 플라스틱 컵 사용을 금지하고 있다. 그러나 교내 카페의 경우 카페와 휴게공간의 구별이 모호하여 이러한 규제 적용이 어렵고 캠퍼스는 외부와 단절되어 있어 쉽게 적발되지 않는다.

근거3

WWF(세계자연기금)는 2019년 한 해 동안 생산된 플라스틱의 사회적 비용(Lifetime cost to society)이 인도의 국내총생산(GDP)보다 많은 3조 7천억 달러에 달한다고 밝혔다. 2040년에는 한 해 생산된 플라스틱의 사회적 비용이 현재의 두 배 수준인 7조 1천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2020 대한민국 플라스틱 폐기물 중 대략 10퍼센트 정로를 일회용 플라스틱 컵으로 조사되었기 때문에 사회적 비용이 크다는 것은 명확하다.

근거의 출처를 보고서, 통계나 논문, 기사 등을 어디에서
찾았는지 URL을 기재해주세요
또는 직접 실시한 인터뷰, 설문조사, 관찰결과 등 직접 작성한
문서(hwp, doc, 메모장 등 텍스트 문서)를 업로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