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실록지리지

문제해결

지역에서 문제라고 생각되는 것에 대한 주장과 주장을
설명하는 부연설명을 기재해주세요.
주장

여성안심 귀갓길 "안심이 앱"의 기능적 보완이 필요하다.

부연설명

서울시는 여성들의 생활 전반의 두려움을 줄이고 폭력 범죄를 예방하기 위해 2013년부터 여성안전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서울시가 주관하는 생활밀착형 여성안심 서비스 중 하나에는 "안심이 앱"이 있다.

"안심이 앱"은 자치구 cctv 관제센터가 컨트롤 타워가 되어 서울시 전역에 설치된 6만 대의 cctv와 안심이 앱을 연계해 안심귀가 관제로 목적지까지 안전하게 가는지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구조지원까지 하는 24시간 안심귀가 앱이다. 간편하게 휴대폰 애플리케이션으로 이용할 수 있다는 점과 다양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는 점은 훌륭하나 몇 가지 미흡한 점이 존재하여 앱의 수정 및 보완이 필요하다.

위치

01811

서울 노원구 공릉로 232 (공릉동,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공릉동 일대

구성원
  • 팀명

    1조 (소셜벤처와 ESG전략)

  • 팀장

    이사빈

  • 팀원

    오정진, 김선하, 박예원, 강한준

주장의 객관적 근거를 기재해주세요.
근거1

"스카우트 앱 서비스"를 이용할 시, 스카웃터에 대한 정보 공유가 부족하다.

이는 이용자의 현 위치를 파악한 후, 근처에 있는 스카웃터들의 인적사항을 이용자에게 띄워주며, 이용자에게 스카웃터를 선택할 수 있는 방식으로 해결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을 채택한다면, 이용자들의 접근성 저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스카웃터에 대한 경계심을 낮출 수 있다. 이를 통해, 앱 이용자 수 증가 효과 또한 기대할 수 있다.

근거2

"안심이 앱"의 홍보가 부족하다.
2023년 10월의 한 기사에 따르면, "안심이 앱"의 밤길 동행서비스 이용건수가 전년보다 30%감소하였으며, 이는 홍보 부족 및 예산 감축으로 인해 발생하였다고 밝혔다.

따라서, 많은 시민들의 "안심이 앱"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홍보의 방면에서 많은 노력 및 예싼 증가가 필요하다. 이는 MZ세대들의 앱 이용률을 높이기 위한 소셜 미디어 광고 및 단순 노출 효괄ㄹ 활용한 네이티브 광고 등을 통해 해결할 수 있다.

근거3

여성안심귀갓길 관련 안전장치의 현황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다.

현재 "안심이 앱"에서는 지도 이미지를 활용하여, 여성안심귀갓길의 CCTV의 위치 등을 안내하고 있다.

이 서비스를 보완하여, 특정한 길의 CCTV가 점검 중이라 제대로 작동이 되지 않는다 등의 여성안심귀갓길의 안전장치의 현황을 공지하는 방식을 채택할 수 있다.

이는 "안심이 앱" 이용자들이 안전장치가 현재 제대로 운영되고 있지 않은 길을 피해 귀가를 한다는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어, 이용자들의 안전한 귀가를 도울 수 있다.

근거의 출처를 보고서, 통계나 논문, 기사 등을 어디에서
찾았는지 URL을 기재해주세요
또는 직접 실시한 인터뷰, 설문조사, 관찰결과 등 직접 작성한
문서(hwp, doc, 메모장 등 텍스트 문서)를 업로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