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개혁'은 사전적 의미로 행정을 현재보다 더 나은 상태로 개선하기 위해 새로운 방법을 고안해 적용하려는 의식적·인위적인 노력을 말한다. 역대 정부에서는 다양한 행정개혁을 추진하였다. 사례로 YS정부(1993~1998)에는 내무부 지방통제기능 축소를 통해 주요 조직을 개편하였고 이를 통해 지방분권의 기반을 마련하였다. DJ정부(1998~2003)에는 英의 대처리즘의 경험을 근거로 시장원리와 경쟁원리를 강조하며 중앙인사위 및 기획예산처 신설과 총무처와 내무부를 통합하여 행정자치부를 설립하였으며 MH정부(2003~2008)에는 소방방재청 신설 및 프로그램(사업별)예산제도, 주민투표제,주민소송제,주민소환제,총액인건비제도,자율편성제도를 추진하였다. MB정부(2008~2013) 당시에는 기획예산처와 재정경제부를 통합하여 기획재정부를 설립하였고 방송통신위의 신설과 공기업의 통폐합 및 민영화, 국정홍보처 폐지를 통한 조직개편을 단행하였다. 朴정부(2013~2017) 당시에는 정부 3.0 개혁 및 국민안전처를 신설하였고 文정부(2017~2022)는 열린혁신 추진 및 중소벤처기업부를 신설하는 정책을 추진하였다. 아쉬운점은 다양한 행정개혁안을 행정부에서 추진하고 시행하였으나 관련보도가 미비하고 국민의 관심도가 저조한 현실이라는 점이다. 행정개혁의 본질은 다양한 성격과 특징을 지니기에 유권자 및 국민의 입장에서 행정부의 정책 및 조직행태에 대한 공감과 지지가 더욱 요구되는 현실이다.
근거2
행정부는 시민들에게 행정참여를 유도하고자 하고 행정개혁을 통해 조직발전 및 정부혁신을 이루고자 하는 공통된 특징을 역대 정부별 행정개혁 정책안을 통해 유추할 수 있다. 구체적인 수치 자료는 없으나 대한민국은 해외 선진국에 비해 외형적으로 성숙한 시민의식을 보이며 높은 국민성으로 언론에서 평가되고 있다. 성숙한 시민의식과 높은 국민성은 시민들로하여금 직,간접적으로 정책과정에 참여를 유도하였고 행정부측에서는 시민들과의 갈등 최소화 및 이해관계자간 원활한 네트워크 및 인프라 구축을 위해 다양한 접근법을 고안 및 실행하여 전략을 추진한다. 행정부의 정책안에 대한 심도 깊은 이해 및 원인 및 행태분석을 위해서는 보다 적극적인 자세의 지식행정관리가 요구된다.
근거3
지방분권에 입각한 지방자치의 경우 직접행정방식과 간접행정방식으로 운영되며 선분권,후보완, 보충성의 원칙, 포괄성의 원칙을 추진중이다. 행정방식의 운영행태를 이해하지 못할경우 정부에 대한 신뢰감소 및 불신, 부조화와 같은 사회문제를 초래할 가능성이 높기에 지방자치의 5대구성요소에 속하는 주민의 입장에서 행정부 및 관련 기관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가 필요한 실정이다.
근거4
정부에서 추진되는 제도 및 정책은 다양한 프로그램 구조설계 및 예견, 투사, 추측등의 예측을 기반으로 수립하여 미래에 대한 정부측면의 대응전략이 반영되어 있다. 정부가 추진하는 정책 및 안건에 대해 국민들이 현재보다 더욱 적극적인 관심과 지지를 표출한다면 보다 성숙한 시민사회로 진입하는 교두보를 확보할 수 있다.
근거의 출처를 보고서, 통계나 논문, 기사 등을 어디에서
찾았는지 URL을 기재해주세요
또는 직접 실시한 인터뷰, 설문조사, 관찰결과 등 직접 작성한
문서(hwp, doc, 메모장 등 텍스트 문서)를 업로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