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노믹스를 주장하며 산업생산체제의 발전을 도모하였던 USA의 트럼프 행정부의 경제정책의 경우 1920년대 이후로 볼 수 없었던 소득과 부의 불평등을 초래하며 사회적 계층의 이동성을 더욱 정체시켰고 기업과 정치적 동맹자들이 휘두르는 무자비한 압박과 탄압으로 노동조합은 쇠퇴하기 시작했다. 금융계는 기업이 거둬들이는 이익 증가분 가운데서도 더 많은 몫을 떼어달라고 요구했고 이들은 실물경제에 거의 도움이 되지 않는 투기에만 골몰할 뿐, 생산적인 새로운 기업에 대한 투자에는 소극적이다. 주류 정당들은 노동자에게 불평등과 임금 정체를 해결하려고 맞서려 하기보다 대학 학위를 따는 방식으로 세계화에 맞춰서 스스로를 개선하기를 강요하는 분위기를 형성한다.
근거2
경제적 삶의 규모가 민주적 통제의 범위를 넘어서면서 자치 프로젝트가 위축되자 시민들 사이의 유대감이 약해졌다. 국경선이 갖는 경제적 중요성이 줄어들면서 국가를 향한 충성심이 약해지고 새로운 경제 체제에서 번영을 누릴 요건을 갖춘 엘리트들은 자국의 동료 시민들보다는 전세계의 동료 기업가, 혁신가, 전문가들에게서 동질성을 더 많이 느낀다고 한다. 기업의 경우도 글로벌화되면서 지구 반대편에서도 노동자와 소비자를 찾을 수 있게 되면서 자국민들에게 덜 의존하게 되는 추세이다.
근거3
현실적으로 자치가 원활하게 작동하려면 경제적 강자에게 민주적 책임을 지우는 정치 제도가 마련돼야 한다. 아울러 시민은 자신들이 공동의 사업에 참여한다고 여길 정도로 서로에 대한 동일성을 충분히 느껴야 한다. 그러나 현실은 두 가지 조건이 제대로 지켜지지 않는다. 이러한 현상은 좌파와 우파의 진영을 넘어 정치적 스펙트럼 전체에 걸쳐 나타난다. 이는 경제적 강자의 책임 회피와 양극화의 고착으로 연결되고 민주주의 정치를 무력하게 만드는데 일조하는 현실이다.
근거4
경제적 강자가 사회에 책임을 지게 만드는 것과 시민의식을 활성화하는 것, 이 두가지는 전혀 다른 정치적 작업이다. 전자는 권력과 제도에 관한 것이고, 후자는 정체성과 이상에 관한 것이기 때문이다. 소수가 독점하는 민주적 제도들을 시민에게 돌려주기 위해서는 함께 꾸려가는 공적 삶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개인이 될 수 있도록 모든 시민들에게 권한을 부여해야 하나 이런 사고방식은 보편적으로 어긋난다. 보편적으로 경제권력이 시민적 삶에 초래하는 결과에 주의를 기울이는 데 익숙하지 않기 때문이고 경제 정책을 다루는 토론 주제는 대부분 경제 성장과 분배 정의이기에 이해당사자간 논란의 여지가 있는 현실이다.
근거의 출처를 보고서, 통계나 논문, 기사 등을 어디에서
찾았는지 URL을 기재해주세요
또는 직접 실시한 인터뷰, 설문조사, 관찰결과 등 직접 작성한
문서(hwp, doc, 메모장 등 텍스트 문서)를 업로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