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실록지리지

문제발굴

지역에서 문제라고 생각되는 것에 대한 주장과 주장을
설명하는 부연설명을 기재해주세요.
주장

흑석동이 가진 3가지 문제점

부연설명

1. 교통
- 교통 밀도 문제
- 주차공간 부족
- 교통 인프라

2. 인프라 부족 문제
- 노후화되고 좁은 길거리
- 문화 인프라 부족
- 젊은 유동 인구 x (중대생 제외)
- 학기 중과 방학, 주중과 주말 간 상권 활성화 정도의 차이

3. 기타
- 치안 문제 (원룸촌)
- 재개발로 인한 지역 간 편차

위치

06987

서울 동작구 흑석동 산 60-43 흑석동

구성원
  • 팀명

    글로벌사회적가치와창업사례5조

  • 팀장

    윤준하

  • 팀원

    김주혜, 서정훈

주장의 객관적 근거를 기재해주세요.
근거1

1-1. 교통 밀도 문제
-흑석동은 교통 경찰의 통제가 필요할 만큼 교통 밀도가 높은 곳이다.

1-2. 주차공간 부족
-흑석역 주변 주차장이 부족함. 대부분 학교 주차장임. 일반 시민들이 이용할 수 있는 주차장은 네이버 지도 기준 5곳뿐이다. -> 학교 주변 식당을 차량을 이용해 방문할 경우, 골목이나 갓길에 차를 대는 경우가 많아짐,,

-주차 공간의 부족으로 주차 지역 마련에 대한 관심도가 증가함. 주차 공간 마련을 위한 시도도 계속되는 중임

- 교통 인프라
-흑석역 근처 좌회전 신호 없음 -> 아파트 출입 불편
-학생들의 통학로에 신호등 X -> 등하굣길 사고 위험 증가

근거2

인프라 문제
- 흑석자이 인프라 문제로 집값 오르지 못함. 높은 경사

- 교통 문제로 중대 병원 앞 사거리에는 신호등도 없고 인도 또한 매우 좁아 안전에 유의해야 한다. 반대로 대중교통 접근성은 좋아 산, 광화문, 반포, 여의도 등을 환승 없이 갈 수 있어 다른 지역으로 이동해 지인을 만나는 경우가 많다.

- 문화적 인프라나 교통, 특색 있는 랜드마크 등이 없다 보니 대학가임에도 홍대나 건대, 신촌 등 소위 핫플이라고 불리는 지역들에 비해 젊은 유동 인구가 적다. 따라서 중앙대의 방학 동안이나 주말은 상권이 죽고 많은 자영업자들이 어려움을 겪는다. 또한 고등학교 조차 없어 많은 학생들이 불편을 겪고 있으며 이렇게 간다면 흑석동으로의 젊은 인구의 유입은 더욱 미미해질 것이다. 그렇다보니 흑석동에 대한 이미지는 현재 그렇게 좋은 편이 아니며 최근 흑석동의 아파트 이름에 서반포라는 이름을 넣었다가 논란이 된 경우도 있다

근거3

C. 기타

1. 치안 문제
- 원룸촌 특징 : 골목길 위주 도로 구성, 가로등 수가 적거나 작동하지 않는 경우도 많아 어둡고 무서운 분위기 조성
- 특히 흑석동에는 비포장도로의 문제와 노후화된 건물 문제, 또 훼손 가구 및 쓰레기가 길거리에 즐비한 문제 발생


2. 재개발로 인한 흑석동 내 구역 간 간극 발생
- 흑석 뉴타운 : 흑석동 일대 27만여평의 땅에 1만2000여가구를 조성하는 사업 / 현재 11개 구역 중 5개 구역이 사업을 완료,
- 지형적 특성 역시 편차 커짐 (언덕, 경사로 많은 동네는 재개발 후순위로 밀려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