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실록지리지

문제발굴

지역에서 문제라고 생각되는 것에 대한 주장과 주장을
설명하는 부연설명을 기재해주세요.
주장

부여에서 인구유출 및 청년인구의 숫자가 줄어듦이 굉장히 심각하다. 따라서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한 공실을 활용한 카페 창업을 하여 부여의 브랜드를 활용한 굿즈와 굿뜨래 상품을 홍보한다.

부연설명

부여는 충남에서 서천군 다음으로 인구유출이 증가하는 지역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인구유출을 막기위한 청년 유입 정책과 출산 장려 프로그램, 그리고 고령자 지원 프로그램 및 지역 경제 활성화 방안을 마련해야 합니다.

이에 따라 지역경제 활성화와 관광객 확보를 위해 청년층이 주도적이 되어 굿뜨래 상품과 부여 백제 문화재를 컨셉으로 하여 카페를 만들어 부여에서 유명한 브랜드가 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위치

33123

충남 부여군 규암면 백제문로 5 (규암리) 부여 롯데

구성원
  • 이름윤시영
주장의 객관적 근거를 기재해주세요.
근거1

지역 특산품 활용으로 차별화된 브랜드 이미지 구축: 부여의 굿뜨래(농특산물)는 이미 고품질의 농산물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이를 카페 메뉴나 제품에 활용하여 부여만의 독특한 브랜드 이미지를 만들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굿뜨래 농산물을 재료로 한 디저트나 음료를 제공하면, 카페는 지역 특색을 살린 차별화된 공간이 됩니다.

근거2

백제 문화재를 활용한 관광객 유입 및 지역 홍보: 부여는 백제 문화유산이 풍부한 도시로, 많은 관광객들이 찾는 곳입니다. 백제 문화재를 컨셉으로 한 카페를 운영함으로써 역사적 문화재와 현대적인 공간이 조화를 이루며 관광객들의 흥미를 끌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부여를 방문한 관광객들이 자연스럽게 카페를 찾게 되고,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근거3

청년 창업 활성화 및 지역 정착 유도: 청년들이 주도하는 카페 브랜드화는 청년 창업의 좋은 모델이 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지역 내에서 청년들의 경제적 기회를 확대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러한 창업 활동이 성공적으로 정착되면 다른 청년들에게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인구 유출을 방지하고 지역 내 청년 정착을 도모할 수 있습니다.

근거4

지속 가능한 지역 경제 모델로서의 발전 가능성: 굿뜨래와 백제 문화재라는 지역 자원을 활용한 카페는 단기적인 트렌드에 그치지 않고, 지역과 연계된 지속 가능한 경제 모델로 발전할 가능성이 큽니다. 이러한 브랜드는 부여의 정체성을 강화하면서, 장기적으로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는 유망한 사업이 될 것입니다.

근거의 출처를 보고서, 통계나 논문, 기사 등을 어디에서
찾았는지 URL을 기재해주세요
또는 직접 실시한 인터뷰, 설문조사, 관찰결과 등 직접 작성한
문서(hwp, doc, 메모장 등 텍스트 문서)를 업로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