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실록지리지

문제발굴

지역에서 문제라고 생각되는 것에 대한 주장과 주장을
설명하는 부연설명을 기재해주세요.
주장

부여의 외국인 방문율 저조, 지역 인프라 구축으로 외국인 방문율을 높여야한다.

부연설명

부여의 주요 관광지들은 도보로 이동할 수 있지만 일부 명소나 유명한 카페와 같은 곳은 차나 대중교통을 이용해야 접근이 가능합니다. 버스 노선이 있지만, 외국인한테는 정보가 부족하고 지연이 발생할 수 있어 관광객들의 이동에 대한 어려움이 있다. 또한 외국 관광객들은 영어 정보가 부족하여 불편함을 느끼기도 하여 외국인 관광객 여행의 편리함을 감소 시킨다. 따라서 인프라 구축을 통해 외국인 관광객을 유치하여 지역경제 활성화를 하고자 한다.

위치

15073

경기 시흥시 산기대학로 237 (정왕동, 한국공학대학교) TIP

구성원
  • 이름이가을
해시태그

인용하기 인용 0건
주장의 객관적 근거를 기재해주세요.
근거1

부여는 한국인 역사와 문화유산을 체험할 수 있는 장소로, 경복궁과 같은 주요 관광 명소에 비견될 수 있는 다수의 문화유산이 존재하는 지역입니다. 하지만 충청북도의 외국인 방문율은 겨우 0.9%이고, 부여는 이보다 더 낮은 수치를 기록합니다. 부여는 한국의 역사적인 매력을 갖추고 있음에도 접근성과 편의성 부족으로 인해 외국인 관광객이 쉽게 찾지 않음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외국인 관광객 유치를 위해 교통편 개성 다국어 언어 안내 시스템 등의 인프라를 구축하여 외국인 관광객이 보다 쉽게 접근하고 경험할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해야합니다.

근거2

부산의 경우 지난해 해양 관광 소비가 3218억원에 달하며, 전체 해양관광소비에 44.6%를 차지했습니다. 특히, 외국인 관광객의 1인당 평균 결제 금액은 내국인보다 3.8배 높은 8만 8512원이다. 이는 부산 경제에 큰 기여를 하였습니다. 따라서 부산의 사례 처럼 외국인 관광객의 유치는 지역 경제에 직접적인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역사적 유적과 자연관광을 갖춘 지역으로 외국인 관광객을 유치할 수 있는 잠재력이 큽니다. 따라서 이를 마케팅 시키고, 외국인 관광객 수요에 맞춘 다양한 인프라를 갖춰 지역경제 활성화를 시켜야합니다.

근거의 출처를 보고서, 통계나 논문, 기사 등을 어디에서
찾았는지 URL을 기재해주세요
또는 직접 실시한 인터뷰, 설문조사, 관찰결과 등 직접 작성한
문서(hwp, doc, 메모장 등 텍스트 문서)를 업로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