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실록지리지

문제해결

지역에서 문제라고 생각되는 것에 대한 주장과 주장을
설명하는 부연설명을 기재해주세요.
주장

청년농부들에게 부여군이 새로운 기회를 부여해야한다.

부연설명

인구 기형 현상과 고령화 현상으로 인한 농업 종사 인구 추이 감소 현상으로 인한 농업의 계보 단절을 막기 위해서는 부여군 만이 지니고 있는 강점을 활용해서 새로운 청년 농부 층들을 유입시켜야 한다고 생각한다. 부여군은 크게 두가지 장점을 지니고 있다.
첫째로는 전국 생산량의 1위를 차지하는 품목들이 다수 존재하는 굿뜨래라는 로컬과 직접적으로 연계된 파워 농업 브랜드가 있다는 것이고, 둘째는 부여군 자체에서 청년 농부들에게 제공 가능한 잉여 자원들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사실 농업에 대해 잘 알지 못하는 청년들이 농업에 진입할때 겪는 많은 문제들이 있다. 우리는 이러한 문제점을 굿뜨래 자체에서 주관하는 시니어 농부와 주니어 농부와의 지식이전을 유발하는 멘토 - 멘티 시스템으로 극복하려고 한다.
또한 굿뜨래의 브랜드 파워를 이용한 협업을 통해 청년 농부의 유입을 유발시키고, 부여군 지역 자체에서 제공 가능한 빈 집과 빈 땅을 제공하여 청년 농부의 유입을 더욱 촉진시키고자 한다.

위치

33168

충남 부여군 부여읍 사비로 33 (동남리, 부여군청) 부여군청

구성원
  • 팀명

    사랑나무 청문회

  • 팀장

    강서민

  • 팀원

    가을호성재프지연

해시태그

인용하기 인용 0건
주장의 객관적 근거를 기재해주세요.
근거1

실제로 부여군 청년농업회장님 인터뷰를 통해 새로이 농업에 진입하는 청년 농부들이 3년간 많이 힘들하며 실제로 포기도 많이 한다는것을 알게 되었다. 그렇다면 3년동안만 선배 농부님들에게 케어받는 것이 가능하다면 청년 농부의 진입장벽을 낮출수 있는 좋은 방안이 될 것이다.

근거2

지역로컬 굿뜨래와 청년 농부의 협업을 통해 판매를 더 원할하게 만들고자 한다. 굿뜨래의 브랜드 파워를 이용한다면 프리미엄을 활용해서 새로운 청년 농부의 유입을 증대시킬수 있을것이다.

근거3

부여군 자체에서 지급 가능한 빈 주택과 빈 땅을 청년 농부에게 지급하면서 또한 청년 농부의 진입장벽을 낮추고 저비용을 통한 청년 농부 유입을 토대로 인구 유입 효과를 기대해볼수 있을것이다.

근거의 출처를 보고서, 통계나 논문, 기사 등을 어디에서
찾았는지 URL을 기재해주세요
또는 직접 실시한 인터뷰, 설문조사, 관찰결과 등 직접 작성한
문서(hwp, doc, 메모장 등 텍스트 문서)를 업로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