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실록지리지

문제발굴

지역에서 문제라고 생각되는 것에 대한 주장과 주장을
설명하는 부연설명을 기재해주세요.
주장

수도권에 비해 경남의 도시들에 청년들이 누릴 수 있는 인프라가 부족하여 지역 청년들이 불편함을 겪고 그것이 지역 청년 유출 문제로 이어진다.

부연설명

청년들이 취업 또는 취미 활동에 필요한 인프라(대외활동, 공모전, 문화예술 등)가 경남에 부족하다. 따라서 청년들은 인프라를 누리기 위해서 수도권으로 이동하고 그러면서 시간과 비용을 많이 투자하게 된다. 그러한 불편함이 곧 지역 거주 청년들의 수도권으로의 이탈 문제로 이어지게 되고, 해당 문제는 결국 지역 문제를 초래한다.

위치

52789

경남 진주시 동진로 155 (상대동, 진주시청) 진주시청

구성원
  • 팀명

    허브유

  • 팀장

    박수연

  • 팀원

    박수연, 구성준, 김다영, 전서진

주장의 객관적 근거를 기재해주세요.
근거1

청년 인구 유출 현상

경상남도를 포함한 지방에서 청년 인구가 수도권으로 유출되는 현상이 심각하다.
2014년~2023년 사이 경남에서 11만 2,153명의 청년이 유출되어 17개 시도 중 가장 많은 청년 순유출을 기록했다.
2024년 1분기에도 경남에서 6,277명이 순유출되었으며, 이 중 20대의 순유출 규모가 가장 컸다.

근거2

청년 유출의 원인은 인프라 부족

경남 인구의 타지 유출이 가속화되고 있는 것은 청년들을 위한 양질의 일자리, 문화 등 생활 전반에 걸친 인프라 부족이 원인이다.
실제로 인구이동 전입이 많은 지역의 특징은 생활인프라가 만족할만하고 첨단 산업발전과 교통인프라가 뛰어난 지역으로 전국에서 살기좋은 지역에 속한다.

도는 2022년 사회조사에서 도민 15세~39세를 대상으로 이주계획을 물었다. 당시 10명 중 3명(29.9%)이 앞으로 이주계획이 있다고 응답했고 15세~19세가 45.4%로 가장 많았다. 이어 20~29세 33.1%, 30~39세 20.4%로 집계됐다.
이주 예상 시기는 앞으로 3.2년이 가장 많았고 이주지는 동남권 45.4%, 수도권 40.2% 순으로 나타났다. 이들 10명 중 5명은 구직·취업·직장 또는 사업장 이전으로 떠난다고 답했다. 이어 원하는 학교·학원 등 교육인프라가 부족해서, 문화·여가·생활편의 시설이 부족해서라고 답했다.

근거3

지역 청년 유출로 인한 지역 문제

최근 수도권 인구 집중은 수도권의 인구 증가와 지방의 인구 감소가 동시에 일어나면서 가속화 되고 있다. 수도권 인구 순유입은 사실상 지방 청년인구의 순유입 현상으로, 지방의 청년인구 유출은 지방 인구 감소, 고령화 심화, 지역경제 활력 저하 등 직접적 영향과, 출산아 수 감소로 인한 자연감소 심화, 수도권으로의 인재 유출 위험 등의 부정적 파급효과를 만들어 내고 있다.

지방 청년 유출-수도권 청년 유입의 급속한 증가는 과거 인구성장 시대에는 출산 수준이 높아 지방 인구의 자연증가에 중요한 요인이 되지 않았지만, 최근 지방 인구의 자연감소가 시작/확대되는 상황에서 인구의 자연증가(감소)의 수준에도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단계로 들어섬. 이러한 순이동과 자연증가의 상호작용을 통해 수도권 인구 집중과 지방의 인구 위기는 더욱 심각해질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