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실록지리지

문제발굴

지역에서 문제라고 생각되는 것에 대한 주장과 주장을
설명하는 부연설명을 기재해주세요.
주장

창원시에 거주 중인 외국인의 비율이 증가하는 추세이나 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지원사업이 부족하다.

부연설명

창원시에 거주하는 외국인의 비율은 해마다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지만 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지원은 미비한 실정이다. 우리 사회의 심각한 문제인 저출산, 고령화에 따라 생산인구감소도 불가피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공백을 해소하기 위해 외국인의 유입이 필요한 상황에서, 이들에 대한 지원 또한 필요하다.

위치

51140

경남 창원시 의창구 창원대학로 20 (퇴촌동, 창원대학교) 창원대학교

구성원
  • 이름홍성진
주장의 객관적 근거를 기재해주세요.
근거1

창원시에 거주하는 외국인의 비율이 해마다 증가하는 추세이다. 창원시가 제공한 최근 3년간 외국인 주민 현황 자료에 따르면 창원시에 거주하는 외국인 주민은 2021년 1만6197명, 2022년 1만7343명, 2023년 1만9846명으로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여 곧 2만 명 돌파를 목전에 두고 있다.

근거2

현재 창원시에서 시행되고 있는 외국인 대상 지원 사업이 부족한 상황이다. 창원시에 거주하는 외국인 주민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행정수요 또한 늘어가고 있다. 또한 이들과 한국인 사이의 문화적 차이 역시 피할 수 없는 문제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사업이 확대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우리 사회의 경제적 이익과 함께 사회적 통합까지 이룰 수 있을 것이다.

근거3

한국리서치 <여론 속의 여론> 팀이 조사한 자료에 따르면 '대중교통, 쇼핑센터, 길거리 등에서 외국인이나 외국인 이민자를 얼마나 자주 보십니까?' 문항에 95%의 응답자가 ‘자주’ 혹은 ‘가끔’ 본다고 응답하였다(‘자주 본다’ 48%, ‘가끔 본다’ 47%). 이를 통해 한국 사회에서 얼마나 자주 외국인을 접할 수 있는지 알 수 있다.
하지만 응답자의 63%가 '외국인 이민자가 늘어나면 범죄 들 사회문제가 증가할 것이다.'라고 응답하였으며, 46%가 '외국인 이민자가 늘어나면 우리나라 고유문화가 훼손되고 갈등이 심화될 것이다.'라고 응답하였다. 이를 통해 외국인에 대한 자국민의 우려가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때문에 외국인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 개선 역시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근거의 출처를 보고서, 통계나 논문, 기사 등을 어디에서
찾았는지 URL을 기재해주세요
또는 직접 실시한 인터뷰, 설문조사, 관찰결과 등 직접 작성한
문서(hwp, doc, 메모장 등 텍스트 문서)를 업로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