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실록지리지

문제발굴

지역에서 문제라고 생각되는 것에 대한 주장과 주장을
설명하는 부연설명을 기재해주세요.
주장

진주 중앙 시장은 시장의 상권 활성화에 비해 열악한 환경을 가지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부연설명

진주 중앙 시장은 2019년부터 중소벤처 기업부 공모 사업으로 추진한 중앙 상권 활성화 사업이 시작되었다. 5년 동안의 활성화 사업을 통해 진주 중앙 시장은 쾌적하고 찾고 싶은 상권으로 변모하게 되었다.
하지만 상권 활성화와 대비하여 진주 중앙 시장의 환경은 열악한 수준이다. 이러한 문제는 거시적 관점에서 시설 노후화, 쓰레기 배출 및 수거 문제로 볼 수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위치

52754

경남 진주시 진양호로547번길 8-1 (대안동) 진주중앙시장

구성원
  • 이름여인화
주장의 객관적 근거를 기재해주세요.
근거1

시설 노후화
하루 평균 2000여명이 방문하는 100년 전통의 진주중앙시장이 노후화가 심각해 그곳을 오가는 시민들의 안전이 위협받고 있다. 중앙시장은 벽면의 뒤틀림, 기둥 부식, 철근 노출 등 건물 노후화가 심각해 강도 높은 지진이 발생했을 경우 붕괴 우려가 있다. 실제 중앙시장 내부를 둘러본 결과 석면으로 된 슬레이트, 텍스 아래에는 상인들과 시민들이 다니고 있었으며, 상인들이 사용하는 물건들이 쌓여 있었다. 한 건물 내부에는 건물 기둥이 일부 손상돼 있거나, 창고로 보이는 점포 천장에는 철근이 노출되고 있었다. 또 한 입구 계단은 붕괴 우려가 있어 폐쇄된 모습도 보였다. 상인들은 이 같은 문제점을 제기하며 개보수를 위한 지자체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하였다. 하지만 건물 소유주와 일부 연락이 닿지 않고, 예산이 부족해 개보수가 어려운 실정이다. 진주중앙시장 상인회에 따르면, 중앙시장 상인들로부터 모으는 관리비 등은 1년에 2억 7천여만원이다. 시장을 관리할 인력과 소모품 등에 사용하고 나면 남는 돈이 없어 시설 개보수비가 부족한 상황이다. 게다가 토지 주인 가운데 1/4가량은 연락이 닿지 않아, 시설 개보수를 진행하기도 힘든 상태에 놓여 있다.

근거2

쓰레기 배출 및 수거 문제
진주시의 쓰레기 배출과 수거가 제때 이루어지지 않아 시장 근처를 지나는 시민들이 많은 불편을 겪고 있다. 진주 중앙시장 근처 대로변의 쓰레기는 화·목·토요일 새벽에 배출, 수거를 하게끔 되어 있지만 시장의 특성상 매일 쓰레기가 배출되고 있으나 수거는 특정 요일 새벽에 이루어지고 있다. 이로 인해 새벽 수거가 되지 않는 날은 파리, 모기 등 벌레가 발생하여 시민들의 건강까지 위협하고 있는 실정이다. 인터뷰에 따르면 인근 상인들은 “작년에도 매일 새벽 수거를 해줄 것을 행정 당국에 요구했으나 예산을 핑계로 거부하고 올해부터 예산을 세워 매일 새벽 수거를 한다고 했으나 올해의 반이 지나도록 시행되지 않고 있다”며 불안을 토로했다.

근거의 출처를 보고서, 통계나 논문, 기사 등을 어디에서
찾았는지 URL을 기재해주세요
또는 직접 실시한 인터뷰, 설문조사, 관찰결과 등 직접 작성한
문서(hwp, doc, 메모장 등 텍스트 문서)를 업로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