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실록지리지

문제발굴

지역에서 문제라고 생각되는 것에 대한 주장과 주장을
설명하는 부연설명을 기재해주세요.
주장

매년 수백억 쏟아붓지만 강릉에 해안침식 문제가 심해지고 있다.

부연설명

최근 강원 강릉지역에서 이례적 해안침식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동해안 해변의 해안침식 문제는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해마다 반복되는 문제이지만 기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이 없을뿐더러 앞으로 해안침식이 더 가속화될 가능성이 있다는 점이다. 해안 침식이 가속화되면서 해안로를 따라 이어졌던 보행 테크가 중간에 끊어지고 테크 기둥을 받치고 있던 모래가 유실되어 테크가 공중에 떠있는 상태가 된 곳이 많다고 한다. 해당 해변에는 침식이 빨라지면서 백사장 면적이 예년보다 크게 줄어들어 있었다. 해안침식 상황은 해당 해변뿐 아니라 하평·사천진, 송정 등 다른 강릉지역 해변에서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위치

25460

강원 강릉시 안현동 산 1-9 경포해변

구성원
  • 팀명

    Digger

  • 팀장

    전용우

  • 팀원

    이재우, 강보성, 박은우, 안은지

주장의 객관적 근거를 기재해주세요.
근거1


동해안의 침식이 가속화되고 있다. 백사장은 물론 생태경관보전 지역까지 피해를 입고 있지만 해안 침식 문제 해결을 위한 근본 대책 마련은 여전히 제자리걸음만 하고 있다. 안인사구는 국내 현존하는 동해안 최대(最大)·최고(最古) 해안사구다. 8,000년 전 신석기시대 고분을 비롯해 갯방풍, 통보리사초 등 사구식물과 물수리, 삵 등 야생생물 서식지로 기후·생태 연구에 매우 중요한 보존지역이지만 해안침식으로 깎여나가고 있다.

근거2

보호 가치가 커, 환경부가 2008년 생태경관보전 지역으로 지정했지만, 해안 침식을 막는 데는 별다른 도움이 되지 않는다. 모래언덕을 살리기 위해 수중 방파제를 추가로 건설하고 있지만, 이로 인해 인접한 다른 해안이 침식될 가능성 또한 제기되는 등 해안 침식 우려는 동해안 전역으로 확산되고 있다.

근거3

동해안의 심각한 해안침식에 대응하기 위해 1조 원에 달하는 사업비가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다. 도환동해본부는 지난해 11월부터 해안침식 대응에 따른 연안정비 사업 수요 조사를 실사한 결과 모두 40개 해변에 1조 178억 원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다고 28일 밝혔다.

근거의 출처를 보고서, 통계나 논문, 기사 등을 어디에서
찾았는지 URL을 기재해주세요
또는 직접 실시한 인터뷰, 설문조사, 관찰결과 등 직접 작성한
문서(hwp, doc, 메모장 등 텍스트 문서)를 업로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