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실록지리지

문제발굴

지역에서 문제라고 생각되는 것에 대한 주장과 주장을
설명하는 부연설명을 기재해주세요.
주장

창원 석동정수장 유충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부연설명

창원시 수돗물 유충 사고 원인을 조사한 특별조사위원회가 최종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정수장의 부실한 관리와 낙동강 수질이 원인으로 꼽혔는데요,
하지만 대책으로 제시한 정수장 시설 개선과 전문 인력 투입은 하루아침에 해결되기 어려운 문제여서 시민 불안감은 이어질 수 밖에 없습니다.
상수원인 낙동강에서 유입된 유충과 석동정수장 관리 문제로 꼽혔습니다.
이번 조사에서 낙동강 수계 취수장에서 여름철 녹조에 이어 유충까지 유입될 수 있다는 사실이 드러났고, 진해구 석동정수장은 활성탄여과지 수질 관리 미흡과 급속여과지 출입구 이중문 미설치 등 환경부 지침을 충분히 이행하지 않았던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또, 설비 부족으로 정수장 역세척수를 재사용하면서, 유충 확산을 키운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위치

51114

경남 창원시 의창구 동읍 대산북로 11-74 (본포리, 낙동강선원) 석동정수장

구성원
  • 팀명

    digger

  • 팀장

    전용우

  • 팀원

    이재우, 강보성, 박은우, 안은지

주장의 객관적 근거를 기재해주세요.
근거1

경남 창원시 진해지역에 수돗물을 공급하는 석동정수장에서 유충이 잇따라 발견된 데는 기존 정수장 유지·관리가 미흡했던 점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확인됐다.

근거2

정수장 처리 과정에서 2마리가 나왔고, 8일 2곳과 9일 1곳(사체)에서 추가로 깔따구가 발견되었다. 현재 창원시는 2차로 33곳에 대한 검사를 실시했고 그 결과를 기다리고 있다.

근거3

역세척수 방류시설 부족으로 상당량의 역세척수를 정수 공정에 재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단체는 "석동정수장에서 검출된 깔따구 유충이 본포원수에서도 검출되었다"며 "깔따구 유충은 하천 수질에서 4등급의 지표생물로 오염된 하천 퇴적토에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고 주장했다.

근거의 출처를 보고서, 통계나 논문, 기사 등을 어디에서
찾았는지 URL을 기재해주세요
또는 직접 실시한 인터뷰, 설문조사, 관찰결과 등 직접 작성한
문서(hwp, doc, 메모장 등 텍스트 문서)를 업로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