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실록지리지

문제발굴

지역에서 문제라고 생각되는 것에 대한 주장과 주장을
설명하는 부연설명을 기재해주세요.
주장

덕산저수지를 활용한 행사 유치 및 관광 성지 조성

부연설명

1차에서 3차까지 걸쳐 안성시 삼죽면을 지역민에서 부터 외부인의 활발한 접근을 유도하고, 관광 성지로서의 브랜드를 구축, 이후 삼죽면의 전통 컨텐츠를 녹일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한다.

1차 덕산 저수지 공원 조성
(동물, 정원, 분수, 오토캠핑장 등)

2차 하계 스포츠 행사 유치
교육감기, 국제페스티벌 등으로 워터쇼, 수영대회 등 개최

3차 기타 숙박시설(오토캠핑, 펜션 조성)
이후 풍산개 박물관 설립하여 반려인들의 발길도 끌 수 있는 애견공원 조성

위치

17514

경기 안성시 삼죽면 덕산호수길 87 (배태리) 덕산저수지 인근 둔치

구성원
  • 이름안동대 권기종
해시태그

인용하기 인용 0건
주장의 객관적 근거를 기재해주세요.
근거1

먼저 덕산 저수지 공원, 둔치 조성입니다.
이미 개간되어있는 주차, 사유지 등을 활용하여 광장, 산책로등을 추가로 조성토록 하고, 저수지가 아닌 문화시설과 주민 행복도를 올릴 수 있는 환경적인 요소로 기반을 다집니다.

소동물원, 정원(꽃터널), 음악분수, 오토캠핑장(협력)

성공사례: 4대강 낙동강 사업 성공 사례인 안동시 강변 참고

근거2

이후 최소한의 조성된 자원 등을 활용, 저수지에서 레저 스포츠, 워터쇼, 흠뻑쇼, 교육감기, 유소년 체육, 수영 대회 등 수자원을 활용, 타지역과 차별되는 컨텐츠를 기획하여 삼죽면의 외부로의 브랜딩을 고조시킨다.

근거3

이후 기타 숙박시설 (오토 캠핑, 펜션 등)이나 또는 더 규모가 작은 풍산개 박물관을 겸한 애견 운동장 공간을 조성하여 최근 이슈인 유기견, 진도, 풍산개의 비율 등 다방면의 사회이슈와 지역문화등을 홍보하며, 반려인들의 발길과 더불어 키우지 않는 일반인에게도 안성시 만의 캐릭터와 브랜드를 고착시킨다.

근거의 출처를 보고서, 통계나 논문, 기사 등을 어디에서
찾았는지 URL을 기재해주세요
또는 직접 실시한 인터뷰, 설문조사, 관찰결과 등 직접 작성한
문서(hwp, doc, 메모장 등 텍스트 문서)를 업로드 해주세요
출처1
출처2
출처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