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실록지리지

문제발굴

지역에서 문제라고 생각되는 것에 대한 주장과 주장을
설명하는 부연설명을 기재해주세요.
주장

시흥 거모지역권은 고령화 및 아동청소년 인구가 높은 지역이므로 이에대한 복지 사각지대 해소 필요

부연설명

시흥 거모동은 고령층과 아동·청소년 인구가 많아 복지 사각지대 해소가 필요. 노인을 위한 건강관리 및 사회적 고립 해소와 아동의 안전한 놀이공간 확보가 핵심 과제입니다. 찾아가는 서비스와 다세대 복합시설 등 지역 맞춤형 복지 정책이 요구.

위치

15003

경기 시흥시 군자로 159 (거모동) 시흥 거모

구성원
  • 팀명

    한국공학대학교 시흥실록지리지 비교과 프로그램 참여자(5팀_전한빛)

  • 팀장

    전한빛

  • 팀원

    김선경

해시태그
주장의 객관적 근거를 기재해주세요.
근거1

시흥시의 인구 구성: 2024년 10월 기준 시흥시 전체 인구는 약 51만 8천 명이며, 이 중 유아기(06세) 인구는 21,339명(4.11%), 학령기(718세) 인구는 67,197명(12.96%), 노령기(65세 이상) 인구는 64,228명(12.38%)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독독정보
이는 고령층과 아동·청소년 인구가 상당한 비중을 차지함을 나타냅니다.

근거2

복지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시흥시의 노력: 시흥시는 원도심 지역의 복지 사각지대 해소를 위해 '찾아가는 복지 5일장'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는 대야·신천행정복지센터와 지역 사회복지관 등이 협력하여 복지 상담과 지원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으로, 거모동과 유사한 지역의 복지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노력의 일환입니다.

근거3

명예 사회복지공무원 제도 운영: 시흥시는 복지 사각지대 발굴을 위해 주민 1,668명을 명예 사회복지공무원으로 위촉하여 위기가정을 발굴하고 지원하는 거미줄 돌봄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중부닷컴
이는 지역 내 복지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적극적인 노력의 사례입니다.

근거4

복지 사각지대의 지속적 발생: 복지 사각지대는 여전히 존재하며, 이는 사회적 안전망의 기초선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이는 국민들의 사회적 안전망에 대한 불신 및 사회적 불안으로 직결될 수 있어, 복지 사각지대 해소는 공공 전달 체계에 있어 가장 시급하게 해결되어야 할 과제 중 하나로 지적되고 있습니다.

근거의 출처를 보고서, 통계나 논문, 기사 등을 어디에서
찾았는지 URL을 기재해주세요
또는 직접 실시한 인터뷰, 설문조사, 관찰결과 등 직접 작성한
문서(hwp, doc, 메모장 등 텍스트 문서)를 업로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