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흥능곡역과 시흥시청역을 지니고 있는 장현지구권의 세밀한 역세권 활용이 필요하다.
시흥능곡역과 시흥시청역을 지니고 있어, 일명 "역세권 파워"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 지역적 환경을 지니고 있음에도 장현지구의 역세권은 낙후되었다. 타도시의 역세권 대비 구도심의 분위기가 강하게 남아있어 인프라가 약하고, 낙후된 시설을 보유하고 있어 이를 개선할 제안이 필요하다.
14994
경기 시흥시 시흥대로 지하 327 (능곡동, 시흥능곡역) 시흥시청역, 시흥능곡역
#역세권파워 #시흥능곡역 #시흥시청역
시흥시청역의 주된 사업이었던 시흥복합환승센터 사업이 무산되며 빈 땅으로 남아있던 부지를 개발해야 한다는 의견이 시흥 시의회에서 발의되었다. 시흥시청역의 부지를 개발해야 한다는 의견이 발의된 것은, 시흥시청역의 발전 가능성과 현재의 인프라 부족을 시사한다.
역세권개발의 도시공간구조 파급효과에 관해 기술한 논문이다. 역세권 개발은 도시공간구조뿐만 아닌, 사회 경제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요소임을 시사한다.
철도 역세권의 경제적 효과에 관한 내용을 기술한 논문이다. 시흥능곡역 / 시흥시청역의 경제적 파급력은 도시 전체에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상권 부활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역세권 재생 사례를 통한 지방 구도심 활성화 방안 연구를 기술한 논문이다. '구도심'에 해당하는 시흥능곡역과 시흥시청역을 재생한다면 '구도심'이라고 불리는 장현지구 전체의 상권 또한 회복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