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환경적 문제
-식료품점 부족과 긴 거리로 신선식품 구매 어려움
-대중교통 부족으로 이동에 많은 시간 소요
[전국적으로 심각한 식품사막화와 강원도 실태]
전국 행정리 3만7563 중 소매점이 없는 지역은 2만7609으로 약 73.5%를 차지함. 강원도는 2226개 행정리 가운데 식료품 소매점이 없는 곳이 1457곳이며, 춘천 북산면 15개리는 모든 곳에 식료품 소매점이 없음. (농림어업총조사, 2020)
근거2
2. 관계적 문제
-고령화와 공동체 붕괴로 취약 계층 소외
-도시-농촌 간 유통망 부족으로 신선식품 공급 어려움
[식품 사막 지역의 주 거주민, 노년층 ]
농가 인구 60세 이상 비율은 68%. 운전이 어려운 노인이지만, 농촌 지역의 평균 시내버스 운행 횟수는 4~6회로 열악한 교통환경.
근거3
3. 개인적 문제 (건강)
-과일·육류·유제품 섭취 부족으로 영양불균형 심화
-고령 주민의 이동 및 물품 운반 어려움
[식품사막화로 인한 건강불균형 – 지역민 및 전문가 인터뷰]
춘천 북산면의 한 주민은 “채소는 텃밭에서 직접 키워 먹기도 하지만 문제는 계란, 돼지고기 등 육류나 우유와 같은 단백질 식품 섭취가 어렵다는 것”이라며 “그나마 겨울에는 채소를 구하는 것도 쉽지 않아 고구마나 감자를 찌거나 장아찌류의 밑반찬으로 끼니를 떼운다”고 인터뷰에 답함. (농수축산신문, ‘농어촌의 위기, 식품사막화를 극복하라 ①심화되는 식품사막화, 농어촌 비상’, 2025.01.03)
“농촌 주민은 도시민에 비해 채소류 섭취량은 상대적으로 많으나, 과일류, 육류, 우유류 등의 섭취량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며 “농촌 주민의 경우 도시에 비해 건강한 식품에 접근하기 어려워 영양섭취부족 가능성이 높고 영양불균형을 겪기 쉽다”고 인터뷰에 응함. (조원지 전북연구원 책임연구원)
근거4
4. 비용적 문제
-신선식품 가격 상승과 교통비로 경제적 부담 증가
[신선식품, 14년 만에 최대폭 상승]
과일·채소 등으로 구성된 신선식품 가격은 전년 대비 9.8% 급등하며 2010년(21.3%) 이후 14년 만에 최고 상승 폭으로 나타남.
근거의 출처를 보고서, 통계나 논문, 기사 등을 어디에서
찾았는지 URL을 기재해주세요
또는 직접 실시한 인터뷰, 설문조사, 관찰결과 등 직접 작성한
문서(hwp, doc, 메모장 등 텍스트 문서)를 업로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