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실록지리지

문제발굴

지역에서 문제라고 생각되는 것에 대한 주장과 주장을
설명하는 부연설명을 기재해주세요.
주장

한국의 지역 축제, 특히 제주의 지역축제는 지자체의 행정 중심 운영으로 인해 예산 소모에 집중되고, 특색 없는 반복적 행사로 변질되고 있다.

부연설명

1. 축제의 수와 질적 문제
2024년 기준, 국내 축제 수는 1100개 이상으로 급증.
대다수 축제가 지역 특색보다는 지역 특산물 홍보에 치우침.
주민 참여가 적고, 지자체가 주도하는 행정 중심의 운영 방식.

2. 해외 사례와의 비교
일본·스페인: 오래된 전통과 종교적 의미를 담아 주민들이 주도.
한국: 지자체의 예산 소진 목적, 주민의 주도성 부족.

3. 행정 중심 운영의 문제점
공무원이 예산 소진을 목적으로 축제 기획.
예산 사용이 목적화되어 축제의 문화적 가치가 퇴색.
행정 공무원의 인사이동과 실적 중심 문화로 축제 일관성 부족.
외부 업체에 하청을 주는 방식은 최악의 사례로 지적.

4. 근본적 원인과 부작용
예산 소진을 위한 행사 중심의 축제.
주민 화합보다는 특정 상인이나 초대 가수 중심.
문화적 가치는 약화되고, 흑자를 내는 축제는 극히 드묾.

5. 개선 방향 제안
주민 주도 참여 확대 및 지역의 고유한 문화 반영.
축제의 질적 완성도와 문화적 가치 중심 평가.
축제의 본질을 유지하면서 지역의 매력과 브랜드 강화.

위치

63116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공항서로 13 (노형동) 제주

구성원
  • 팀명

    G-STAR 11조

  • 팀장

    윤도현

  • 팀원

    김주혜, 박지수, 신준영, 이연호, 최호범

주장의 객관적 근거를 기재해주세요.
근거1

문성종 제주한라대학교 교수는 "적어도 지자체의 보조금을 받는 축제는 축제육성위원회의 평가 대상에 오르는 게 맞다"며 "확실한 피드백을 통해 개선할 건 개선하는 방식으로 진행돼야 한다. 자생력 있는 축제를 육성하기 위해서는 지역 축제에 대한 전문가 컨설팅 지원이 필수"라고 설명했다.

이어 "해외에선 지역주민이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축제의 경우 주민들이 1년 내내 축제를 준비하기 때문에 그 과정 자체가 축제이고 홍보가 된다"고 덧붙이며 주민 참여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고선영 제주연구원 책임연구원도 "제주도는 축제를 관광 축제로 접근을 하다보니 '보여주기'에만 급급하고 정작 축제에 주민이 빠지는 우를 범한다"고 지적했다.

연합뉴스, [줌in제주] 제주에 축제 연간 100개…"예산뿌리기 축제는 그만", 2024

근거2

대한민국의 지역축제 전반적인 경향
주민 참여율 감소: 전국적으로 지역축제가 증가했지만, 주민 참여율은 평균 9.6% 감소했으며, 외부 방문객 비중도 1.58% 감소

관광 소비 감소: 외부 방문객의 1인당 관광 소비액도 12.72% 감소

나라살림연구소, [2024년 지역축제 현황 및 성과분석에 따른 성과관리 제도개선 방향성 제언]

근거3

2024년 지역축제 예산 중 국비 지원 비율은 약 62억원으로, 전체 예산의 일부를 차지한다. 문화체육관광부에 따르면, 2024년에 총 1,170개의 지역축제가 계획되어 있다.

문화관광체육부, [2024년 지역축제 개최계획],2024

근거의 출처를 보고서, 통계나 논문, 기사 등을 어디에서
찾았는지 URL을 기재해주세요
또는 직접 실시한 인터뷰, 설문조사, 관찰결과 등 직접 작성한
문서(hwp, doc, 메모장 등 텍스트 문서)를 업로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