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실록지리지

문제발굴

지역에서 문제라고 생각되는 것에 대한 주장과 주장을
설명하는 부연설명을 기재해주세요.
주장

제주도의 유휴공간은 청년들을 위한 주거 공간 및 작업 공간으로 활용되어야 한다.

부연설명

유휴 공간은 이용이 가능하나 미이용 중인 공유재산으로 지역사회의 발전을 저해하는 요소이다. 제주에는 이러한 공공 소유의 유휴건물이나 토지가 다수 존재하여 이에 대한 활용과 관리가 필요하다.

제주도의 인구 감소 현상은 청년들의 이동이 핵심이다. 따라서 청년들에게 실질적으로 필요한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이탈을 방지하고 정착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어야 한다.

위치

63277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중앙로 53 (일도일동) 5~7층

구성원
  • 팀명

    SAWP

  • 팀장

    임지연

  • 팀원

    박새별

주장의 객관적 근거를 기재해주세요.
근거1

2023년말, 제주도 소유의 공유재산은 토지와 건물을 합쳐 총 14만4000여 개에 달하고, 그 가치는 8조8723억원으로 추산된다. 환경·문화보존형 8144건을 제외한, 사용 가능한 공유재산은 도시계획시설 지정형 358건, 매각 우선형 1830건, 공공개발·민간활용형 1452건 등 총 3640건으로 분류된다.

근거2

청년 전출 사유에서 다섯 손가락에 꼽는 사유는 주택 공간이다. 제주도는 청년들의 주거 부담을 덜기 위해 다양한 비용 지원 사업을 시행 중이지만, "내 집 마련"을 위한 지원으로 한정되어 있어 단기적인 거주를 원하는 대학생, 취업 전 청년을 위한 주거 공간이 부족한 현실이다.

근거3

청년을 위한 정책을 받을 수 있는 지원센터가 제주시 동지역에 집중돼 있어, 읍면지역에 거주하는 청년들은 이용에 어려움이 존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