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00만 애견인 시대에 반려견과 함께하는 여행은 이제 익숙해 졌으며, 제주도로 애견 동반 여행을 오는 여행객 수는 매년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애견을 동반한 제주도 여행은 통상적으로 장기 여행에 해당하며, 애견 동반 여행객들은 애견 동반 여행지 부족, 비용, 애견 관리 등의 다양한 불편함을 호소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SNS를 통해 정보를 얻고 있었다. 특히 애견 관리와 관련된 문제는 견주 뿐만 아니라 타 여행객들, 사업주들 등에게도 불쾌감을 주는 경우가 발생하기에 중요도가 크다고 사료되었다. 따라서 제주도의 애견 동반 관광지의 인프라 개선 혹은 애견 청결 관리를 위한 배변 용품 제안을 통한 문제 해결을 제시하려 한다.
반려인이 지켜야 할 주요 에티켓(펫티켓)에 대해 반려인은 80% 내외가 ‘잘 준수하고 있다’고 응답한 반면, 비반려인은 30% 내외만이 ‘잘 준수되고 있다’고 인식해 각자 인식 차이를 보였음.
반려견 관련 갈등에 대해 반려인은 ‘비반려인의 행동/인식’을 가장 큰 문제로 지적한 반면 비반려인은 ‘반려동물의 위생/소음’을 지적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선 반려인 대상 교육 시스템 운영, 반려견 동반 여행 문화 정착 캠페인, 비반려인 대상 펫티켓 캠페인 등을 통한 반려인/비반려인 상호간의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공사 정용문 레저관광팀장은 “이번 실태조사를 통해 반려동물 동반여행에 불편함이 없는 여행환경 조성이 중요한 과제로 나타났으며, 향후 공사에서는 반려견 친화관광환경 조성을 통해 반려동물 동반여행을 국내 관광의 신성장동력으로 육성해나갈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근거2
견주들의 장기 여행 시 강아지 배변 해결의 어려움
애견 동반 여행은 통상 장기 여행으로 반려견 청결 관리를 위해 배변 관리 용품이 필요하나, 배변 관리 용품들은 보통 단기 사용을 위한 것으로 장기 여행 시 사용이 불편함. 또한 제주 시내 배변 용품 처리를 위한 인프라가 부족하고, 정보 또한 얻기 힘들어 애견 동반 여행객들은 불편함을 겪고 있음.
근거3
애견 동반 업체 사업주, 타 여행객들의 불편함 호소
애견동반 가능 업체를 운영하고 있는 사업주들 또한 배변 문제로 인해 골머리를 앓고 있음을 알 수 있음.
근거4
산책 중 배변 처리는 견주들의 불편함 1위
N도르핀에서 서울, 경기 지역 20~50대 견주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인터뷰에서 냄새 등의 배변 처리는 산책 시 가장 불편한 이유로 나타났음.
근거의 출처를 보고서, 통계나 논문, 기사 등을 어디에서
찾았는지 URL을 기재해주세요
또는 직접 실시한 인터뷰, 설문조사, 관찰결과 등 직접 작성한
문서(hwp, doc, 메모장 등 텍스트 문서)를 업로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