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스크가 없이 돌아다닐 수 없는 오늘날 우리지역에서 보건용 마스크를 찍어내고 남은 원단이 환경에 큰 피해를 입히고 있다
부연설명
우리 지역 마스크 공장에서 보건용 마스크를 찍어낼 때 필수적으로 발생하는 마스크 자투리원단은 약 10%로 코로나가 안정화된 지금 매 주 약 1600만장의 마스크가 생산되고 있는것을(식약처) 감안하면 이는 환경에 치명적인것이 자명하다 반려견 1500만 시대가 도래하면서 애견용 배변패드 또한 환경에 큰 피해를 입히고 있다. 마스크, 애견용배변패드 두 소재의 자원순환의 고리를 연결하면 탄소절감을 통한 환경적 가치확산에 기여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