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실록지리지

문제발굴

지역에서 문제라고 생각되는 것에 대한 주장과 주장을
설명하는 부연설명을 기재해주세요.
주장

지방 도시나 군 단위 지역에서 폐교된 구 학교 건물들이 낭비되고 있으며, 인구 감소 및 수도권 집중화에 따라 폐교율 마저 점차 오르고 있다.

부연설명

지방 도시나 군 단위 지역에서는 지난 수년간 지속적인 인구 감소와 청년층의 수도권 유입 현상으로 인해 학교가 통폐합되거나 아예 폐교되는 사례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특히 저출산과 고령화로 인해 학령인구 자체가 줄어들면서, 지방의 많은 초·중·고등학교가 학생 수 부족으로 정상적인 운영이 어려워지고, 이에 따라 사용되지 않는 구 학교 건물들이 점차 방치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공간 자산의 활용도가 급격히 낮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폐교는 지역 공동체의 축소, 청년층의 이탈 가속화, 그리고 지역 경제 기반의 약화로 이어진다는 점에서 심각한 사회적 문제가 될 수 있다.

또한 대부분의 폐교 건물은 일정 규모 이상의 부지와 건축 구조를 갖추고 있어, 적절히 활용된다면 지역 활성화를 위한 소중한 자원이 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는 활용 방안 부재 및 예산 문제 등으로 방치되는 경우가 많다.

위치

48763

부산 동구 증산동로 59 (범일동, 좌성초등학교) 좌성초등학교(폐교)

구성원
  • 팀명

    unicorn

  • 팀장

    오용근

  • 팀원

    박기현, 최보권

주장의 객관적 근거를 기재해주세요.
근거1

최근 5년간 전국 초중고 193개 폐교, 그 중 89%가 비수도권에 집중되어 있음.

근거2

수도권에 인구가 몰리면서 발생하는 지방 소멸 문제는 사회적 이슈로 대두된 지 오래지만 여전히 해결되지 않고 있는 상황

근거3

폐교 활용 프로젝트는 정부와 민간이 협력하는 성공적인 모델이 될 수 있습니다. 교육청은 자산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고, 스타트업은 안정적인 공간을 확보하며, 지역사회는 발전의 기회를 얻습니다.

근거4

대한민국 제2의 도시 부산 상권의 분위기가 심상찮다. 서면, 부산대 앞, 현대백화점 주변 등 주요 상권의 공실률이 치솟고 있다.

근거의 출처를 보고서, 통계나 논문, 기사 등을 어디에서
찾았는지 URL을 기재해주세요
또는 직접 실시한 인터뷰, 설문조사, 관찰결과 등 직접 작성한
문서(hwp, doc, 메모장 등 텍스트 문서)를 업로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