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 도시나 군 단위 지역에서 폐교된 구 학교 건물들이 낭비되고 있으며, 인구 감소 및 수도권 집중화에 따라 폐교율 마저 점차 오르고 있다.
부연설명
지방 도시나 군 단위 지역에서는 지난 수년간 지속적인 인구 감소와 청년층의 수도권 유입 현상으로 인해 학교가 통폐합되거나 아예 폐교되는 사례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특히 저출산과 고령화로 인해 학령인구 자체가 줄어들면서, 지방의 많은 초·중·고등학교가 학생 수 부족으로 정상적인 운영이 어려워지고, 이에 따라 사용되지 않는 구 학교 건물들이 점차 방치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공간 자산의 활용도가 급격히 낮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폐교는 지역 공동체의 축소, 청년층의 이탈 가속화, 그리고 지역 경제 기반의 약화로 이어진다는 점에서 심각한 사회적 문제가 될 수 있다.
또한 대부분의 폐교 건물은 일정 규모 이상의 부지와 건축 구조를 갖추고 있어, 적절히 활용된다면 지역 활성화를 위한 소중한 자원이 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는 활용 방안 부재 및 예산 문제 등으로 방치되는 경우가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