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실록지리지

문제발굴

지역에서 문제라고 생각되는 것에 대한 주장과 주장을
설명하는 부연설명을 기재해주세요.
주장

강릉 해변에 투기되고 방치되는 쓰레기들이 시민, 관광객의 불만족과 환경오염을 불러오고 있다.

부연설명

강릉시는 국내 대표적인 해양관광 도시로, 연평균 수백만 명의 관광객이 방문한다. 특히 경포해변, 안목해변, 사천진해변 등은 사계절 내내 이용객이 끊이지 않으며, 여름 성수기에는 하루 수만 명이 몰리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관광객 증가에 비례하여 해변 쓰레기 발생량도 급격히 늘고 있다.

환경부와 강릉시 자료에 따르면, 2023년 여름 성수기 한 달 동안 강릉 주요 해수욕장에서 수거된 해양·연안 쓰레기는 약 50톤 이상이며, 이 중 60%가 플라스틱류, 25%가 캔·병류, 나머지가 폐어구 및 기타 생활쓰레기다. 특히 일회용 컵, 배달·포장 용기, 비닐봉투가 압도적으로 많다. 반면, 비성수기에는 쓰레기 발생량은 감소하지만, 청소 인력과 장비 투입이 줄어들면서 장기간 방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패턴은 해변뿐만 아니라 인근 주차장, 상점가, 야외 테이블 주변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난다.

특히 겨울철에는 강릉의 바닷바람과 높은 파도가 쓰레기를 해변에서 바다로 밀어 넣어, 해양 투기와 유사한 상황이 발생한다. 바다로 유입된 쓰레기는 해양 생물에 치명적이며, 부패 과정에서 미세플라스틱으로 변해 장기적으로 해양 생태계를 훼손한다.

위치

25460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창해로 514 (안현동) 경포해수욕장

구성원
  • 팀명

    9팀

  • 팀장

    강경희

  • 팀원

    강경희, 김은성, 이채림, 정현진

주장의 객관적 근거를 기재해주세요.
근거1

단속을 진행중임에도 효과가 미미하며, 해변에는 꾸준히 쓰레기가 늘어나고 있다.

근거2

해수욕장 내 불법적인 폭죽 사용이 소음과 쓰레기 문제로 피서객들에게 불쾌감을 주고 있으며, 이에 관한 단속이 시급하다.

근거3

서울 및 수도권에서 지리상으로 더 가까운 강원도가 아닌 부산, 충남 등으로 몰리는 것은 해수욕장 관리 상태, 숙박·상가시설 서비스 문제, 관광지 노후화, 범죄노출 우려 등 다양한 원인 때문으로 풀이된다.

근거4

해변을 찾은 관광객들은 "사람이 붐비고 난 강릉 바닷가는 관광 명소라 하기에는 보기 흉할 정도로 쓰레기가 많아 안타깝다"며 "해수욕장 개장 시즌 외에도 쓰레기 문제 해결 등이 필요해 보인다"고 입을 모았다.

근거의 출처를 보고서, 통계나 논문, 기사 등을 어디에서
찾았는지 URL을 기재해주세요
또는 직접 실시한 인터뷰, 설문조사, 관찰결과 등 직접 작성한
문서(hwp, doc, 메모장 등 텍스트 문서)를 업로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