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실록지리지

문제발굴

지역에서 문제라고 생각되는 것에 대한 주장과 주장을
설명하는 부연설명을 기재해주세요.
주장

강릉(특히 명주동)은 ‘설명 듣는 관람형’ 위주라 체류·재방문을 이끌 체험형 관광콘텐츠가 부족하다. KTX·동해선 등 접근성 향상에도 무박·당일 비중이 높아 체류형 전환이 필요하다.

부연설명

명주동은 강릉의 원도심·근대유산이 밀집한 ‘이야기 많은 동네’지만, 이를 ‘참여형 스토리게임’으로 엮은 정규 상품은 드물다. 골목·유휴공간·문화시설(명주예술마당 등)을 연결한 미션형 투어로 상권 연계 소비와 관계인구를 늘릴 수 있다.

위치

25535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명주동 65-15 명주동

구성원
  • 팀명

    백불행

  • 팀장

    윤태준

  • 팀원

    안상오, 공유빈, 김혜주

주장의 객관적 근거를 기재해주세요.
근거1

강릉 관광객 10명 중 8명 이상이 무박·당일(’24.3월 81.5%); 숙박·체류형 전환 유도를 요구.

근거2

’25년 1분기 강릉 평균 숙박일수 2.58일(전국 평균 대비 –0.28일), 숙박 검색 비중 18.2%로 급감 → 체험형 콘텐츠 결핍 지적.

근거3

명주동은 ‘강릉 옛 지명(溟州)’을 품은 원도심으로 근대 유산·문화공간(명주예술마당 등) 다수 → 스토리텔링 자원이 풍부.

근거4

글로벌 관광 트렌드는 ‘경험·참여형’으로 이동

근거의 출처를 보고서, 통계나 논문, 기사 등을 어디에서
찾았는지 URL을 기재해주세요
또는 직접 실시한 인터뷰, 설문조사, 관찰결과 등 직접 작성한
문서(hwp, doc, 메모장 등 텍스트 문서)를 업로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