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실록지리지

문제발굴

지역에서 문제라고 생각되는 것에 대한 주장과 주장을
설명하는 부연설명을 기재해주세요.
주장

강릉 해변과 축제 현장에서 사용 후 방치되는 폭죽 폐기물이 시민·관광객의 불만족과 환경오염을 유발하고 있다.

부연설명

강릉시는 여름 해양축제, 불꽃놀이 행사, 연말·연초 카운트다운 등 폭죽 사용이 잦은 대표 해양관광 도시입니다. 경포해변, 안목해변, 사천진해변 등 주요 관광지에서는 성수기와 주요 행사 시 폭죽 사용량이 급증하며, 이후 발생하는 폐기물이 해변과 인근 상권에 방치되고 있습니다.

강릉시와 환경부 자료 및 현장 조사에 따르면, 2023년 여름 성수기 한 달 동안 주요 해수욕장에서 수거된 폐기물 중 폭죽 잔재(종이·플라스틱·금속류)가 약 8~12%를 차지했습니다. 폭죽 잔재에는 바륨·스트론튬·구리 등의 중금속과 화약 잔여물이 포함되어 있어 토양·수질 오염 위험이 큽니다.

성수기 외 기간에도 해변·주차장·공원 등에서 개인이 사용한 폭죽이 방치되는 경우가 많으며, 바람과 파도에 의해 일부는 해양으로 유입되어 미세플라스틱화됩니다. 이는 해양 생태계 파괴와 장기적인 관광 이미지 훼손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위치

25460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창해로 514 (안현동) 경포해수욕장 및 강릉 주요 해변·축제장소

구성원
  • 팀명

    Re:ocean

  • 팀장

    김지은

  • 팀원

    권용현, 현하늘, 박주현

주장의 객관적 근거를 기재해주세요.
근거1

폭죽 사용 단속이 진행 중임에도 해변과 행사장 주변에 폭죽 잔재가 꾸준히 발견되고 있다.

근거2

폭죽 사용 후 잔재물이 소음·시각적 불쾌감뿐만 아니라 중금속·화약 잔여물로 인한 환경오염을 유발한다.

근거3

관리 체계 미흡으로 인해 일부 관광객이 환경 관리 수준이 높은 다른 해변·도시로 이동하는 경향이 있다.

근거4

관광객들은 “축제 이후 해변에 폭죽 잔재가 널려 있어 강릉의 이미지가 훼손된다”며 상시적인 관리·수거 체계 마련을 요구했다.

근거의 출처를 보고서, 통계나 논문, 기사 등을 어디에서
찾았는지 URL을 기재해주세요
또는 직접 실시한 인터뷰, 설문조사, 관찰결과 등 직접 작성한
문서(hwp, doc, 메모장 등 텍스트 문서)를 업로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