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실록지리지

문제발굴

지역에서 문제라고 생각되는 것에 대한 주장과 주장을
설명하는 부연설명을 기재해주세요.
주장

강릉의 대표 관광지(경포대, 정동진역, 안목커피거리 등)만 과도하게 집중 홍보되고 방문객이 몰리면서, 실제로 품질이 우수한 식당·명소·공예소상공인은 외면 받고 있다. 관광 정보가 특정 공간과 콘텐츠에만 편중되면서 지역경제 구조에 불균형이 발생하고 있다.

부연설명

SNS, 블로그, 포털 검색 등 알고리즘 기반 추천 구조로 인해 관광객의 동선이 소수 지역에 편중되고 있다. 예를 들어, 안목커피거리, BTS 정동진역 등 사진 명소 중심으로 방문지가 고정화되고, 그 외 지역은 방문객이 적어 경제적 기회를 상실하고 있다. 이로 인해 인기 지역은 과밀화되고 상권이 포화되지만 그 외 지역은 침체되어 지역 내 상권 양극화가 발생한다. 특히 지역민이 추천하는 ‘진짜 강릉’은 디지털 정보 시장에서 노출 기회를 거의 얻지 못하고 있다.

위치

25556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창해로14번길 20 (견소동) 안목카페거리

구성원
  • 팀명

    8팀

  • 팀장

    백서진

  • 팀원

    백서진, 신은결, 이민규, 이지연

주장의 객관적 근거를 기재해주세요.
근거1

관광객 방문 지역 편중 현상
: 강릉시 온라인 조사에 따르면 관광객의 60%이상이 경포대, 안목해변, 중앙시장, 정동진역 등 특정 지역에만 집중하여 방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거2

알고리즘 기반 정보 편향성
: 네이버 지도, 인스타그램 등 주요 디지털 플랫폼의 추천 알고리즘은 '인기'와 '조회수'를 중심으로 작동한다. 이로 인해 이미 유명한 장소는 더욱 노출이 확대되고, 신규 업체나 숨겨진 명소는 노출될 기회조차 얻기 어렵다. 관광객들은 결국 알고리즘이 제공하는 제한된 정보 안에서만 소비하게 되어, 강릉의 진짜 매력을 발견할 기회를 잃게 된다.

근거3

현지인 소외 및 매출 격차 확대: 한국교통대 이경주·홍성조 교수에 따르면, 관광객이 증가하면 지역 소상인 매출이 대부분 증가하는 것과 달리 강릉은 오히려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강릉에 방문한 관광객이 관광 특화 지역과 그렇지 않은 지역 간의 매출 격차를 심화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로 인해 현지 주민들이 주로 이용하는 상점들이 경제적 어려움을 겪게 되기도 한다. 결국 관광은 일부 지역 상인들에게만 혜택을 주고, 대다수의 지역 경제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구조가 고착화되고 있다.

근거의 출처를 보고서, 통계나 논문, 기사 등을 어디에서
찾았는지 URL을 기재해주세요
또는 직접 실시한 인터뷰, 설문조사, 관찰결과 등 직접 작성한
문서(hwp, doc, 메모장 등 텍스트 문서)를 업로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