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릉이라는 도시의 이미지는 브랜딩이 잘 홍보되어 있지 않아 색깔이 부족하다. 관광도시임에도 불구하고 확고한 정체성과 차별적인 이미지가 자리 잡지 못했다.
부연설명
강릉은 바다, 커피, 전통문화 등 풍부한 자원을 가지고 있음에도 관광객에게 전달되는 이미지는 단편적이다. 현재 강릉은 ‘커피 도시’라는 인식에 과도하게 의존하고 있으며, 기념품이나 상징물 또한 지역 정체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다. 이로 인해 강릉은 관광도시로서의 매력을 확장시키지 못하고, 타 지역과의 차별화에서도 한계를 보이고 있다.
제주와 전주는 지역 정체성을 기념품으로 브랜드화해 성공한 대표 사례다. 제주도는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조사에서 관광 소비 중 쇼핑 비중이 36.3%, 기념품 시장 규모는 약 1조~2조 원으로 추정된다. 전주 한옥마을 또한 국회입법조사처 자료에 따르면 연간 1,234억 원 규모의 소비가 발생하며, 한지·한옥 관련 굿즈가 매출을 견인한다.
반면 강릉은 ‘커피 도시’ 이미지를 제외하면 스토리 기반의 차별화 상품이 부족해, 기념품 소비가 지역경제와 브랜드를 강화하는 역할을 충분히 하지 못하고 있다.
근거2
2. 경제 근거
기념품 소비는 지역 경제와 고용 창출에 기여하며, 관광도시 강릉의 도시 브랜딩에도 중요한 요소다. 그러나 강릉은 먹거리 중심 소비에 치중해 소상공인·창작자에게 돌아가는 수익이 제한적이고 도시 브랜드화도 약하다.
실제로 강원연구원 「강릉 관광소비 구조 분석」에 따르면 2019년 관광소비 규모는 6,763억 원이었으나, 이 중 **식음료 매출이 4,175억 원(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또한 관광객 조사에서는 **“구매할 만한 기념품·특산물이 부족하다”는 응답이 20.7%**에 달해, 굿즈 경쟁력이 약하다는 점이 수치로 확인된다.
근거3
3. 소비 트렌드 근거
현대 관광객은 단순 상품보다 경험 중심 소비와 개인화된 기념품을 선호.
특히 MZ세대는 희소성, 스토리, SNS 공유가치를 중시하며, 로컬 브랜드·친환경 가치에도 높은 관심.
강릉 기념품은 이러한 변화에 충분히 대응하지 못해 경쟁력이 약화.
근거4
4. 도시브랜딩 근거
관광기념품은 지역 정체성과 스토리를 전달하는 도시 브랜딩 수단임. 디자인과 스토리텔링이 부족하면 도시 이미지가 희석됨. 진정성 있고 품질 높은 기념품은 관광객 만족과 재방문 의도를 높이며 지역 브랜드 가치를 강화함.
근거의 출처를 보고서, 통계나 논문, 기사 등을 어디에서
찾았는지 URL을 기재해주세요
또는 직접 실시한 인터뷰, 설문조사, 관찰결과 등 직접 작성한
문서(hwp, doc, 메모장 등 텍스트 문서)를 업로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