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실록지리지

문제발굴

지역에서 문제라고 생각되는 것에 대한 주장과 주장을
설명하는 부연설명을 기재해주세요.
주장

시흥시 거북섬의 웨이브 파크의 특색이 부족합니다.

부연설명

시흥시 거북섬에는 웨이브 파크라는 시설이 조성되어 있지만, 기대만큼의 인기를 얻지 못하고 있습니다.
또한 대중교통 접근성이 불편해 외부 방문객들이 찾기 어려운 점도 문제로 지적됩니다.
무엇보다 서핑 외에 추가로 즐길 수 있는 체험이나 문화 콘텐츠가 부족하여 방문객들이 오래 머무르지 않고, 대부분 짧게 둘러본 뒤 떠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소비가 이어지지 못하고, 결국 상권 전반이 활력을 잃어 침체된 상황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위치

15119

경기 시흥시 거북섬둘레길 42 (정왕동, 웨이브파크) 거북섬 일대

구성원
  • 팀명

    AMT

  • 팀장

    김수환

  • 팀원

    김경수,조민준

주장의 객관적 근거를 기재해주세요.
근거1

최근 공식 홍보 기준, 웨이브파크는 매년 봄~가을 중심의 시즌 운영으로 안내된다. 겨울·비수기엔 체험 수요가 급감하고, 바깥 활동 특성상 날씨에 따라 당일 방문이 크게 출렁여 상권의 연중 안정적 수요 형성이 어렵다.

근거2

웨이브파크의 절대 핵심은 인공서핑이고, 시설 설명도 아시아 최대 서핑파크라는 서핑 정체성을 전면에 둔다. 즉, 방문 동기의 1순위가 거의 서핑으로 수렴한다.

결과적으로 비서퍼 대중층 흡입력이 약하고 재방문 동기가 약해진다.

근거3

섬 일대가 물놀이 중심의 단발 체험에 집중돼 있어, 계절·주말 피크 외 상설 전시/공연/야간형 축제/마켓 같은 연중형 문화·야간 프로그램이 상대적으로 약하다. 공공 안내에서도 소개 목록이 수상 레저 위주로 제한돼 머물 이유가 얕다는 인상을 준다.

근거4

서핑 세션 1시간이 보통 6–8만 원대로 소개되고, 장비 대여가 추가 비용으로 붙는다. 입문자/가족 방문에겐 진입장벽이 높고, 반복 방문·재방문을 막는 요인이 된다.
일부 안내·판매 페이지는 입장권·패키지도 별도 책정되어 있고, 체류를 늘리려면 부가 체험 비용이 추가돼 1인당 지출액이 빠르게 상승한다. 가격 대비 체험 폭이 좁다는 인상이 남기 쉽다.

근거의 출처를 보고서, 통계나 논문, 기사 등을 어디에서
찾았는지 URL을 기재해주세요
또는 직접 실시한 인터뷰, 설문조사, 관찰결과 등 직접 작성한
문서(hwp, doc, 메모장 등 텍스트 문서)를 업로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