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청에서는 거북섬을 관광객 중심으로 개발하여 관광객 의존형 단일 구조 형태로 되어있다.
그로 인해, 방문객의 대부분은 외부 관광객 중심이다.
하지만, 개발 당시, 코로나 발생으로 인해 관광객들이 방문하지 않게 되면서 상권이 손 쓸 수 없는 지경까지 무너졌다.
근거2
상가 공실률이 87%에 달하며(전국 평균 13.8% 대비 심각), 버스망이나 도로망 또한 부족하여 시흥 시민조차 자주 찾지 않는 공간으로 전락되었다.
접근성과 체류 경험의 약하다. 시흥 내부 교통망이나 대중교통 연계가 충분하지 않아 이동이 불편하고, 방문하더라도 체류할 만한 저녁·야간 프로그램이 적어 “잠깐 보고 나오는 곳”으로 인식된다.
근거3
레저 특화라는 단일 콘셉트에 의존하다 보니 계절성(여름 한정)·고비용 구조·야간 비활성화 문제를 낳고,
지역 생활권(정왕·은계·장현 신도시, 오이도 상권)과 연결성이 약해 “시흥시민의 생활 거점”이 되지 못하고 있다.
콘텐츠의 한계가 있다. 웨이브파크 등 레저시설은 고비용·전문성 중심이라 대학생들이 일상적으로 즐기기엔 부담스럽다. 무료·저비용으로 즐길 수 있는 문화·여가 콘텐츠가 부족하다.
근거4
활성화된 커뮤니티 부재이다. 대학생들이 자주 찾는 공간은 보통 카페 거리, 문화 공연장, 소규모 모임 공간 등인데, 거북섬은 이런 생활 친화형 공간이 부족하다. 공실 상가가 많아 “죽은 상권”이라는 인식이 강하다.
근거의 출처를 보고서, 통계나 논문, 기사 등을 어디에서
찾았는지 URL을 기재해주세요
또는 직접 실시한 인터뷰, 설문조사, 관찰결과 등 직접 작성한
문서(hwp, doc, 메모장 등 텍스트 문서)를 업로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