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실록지리지

문제발굴

지역에서 문제라고 생각되는 것에 대한 주장과 주장을
설명하는 부연설명을 기재해주세요.
주장

거북섬 개발은 이미 높은 공실률 문제와 생활편의시설 부족으로 인해 실질적인 지역 활성화에 기여하지 못한다.

부연설명

높은 공실률 문제:
거북섬 주변에는 이미 지어진 상가와 건물들이 공실로 방치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상황에서 추가적인 개발이 이루어진다면, 기존의 공실률은 더욱 악화될 수밖에 없다. 이는 지역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기보다는 오히려 상권 과잉과 자원 낭비를 초래할 가능성이 크다.

생활편의시설의 부재:
근처에 영화관, 대형마트 같은 주민 생활에 꼭 필요한 문화·편의시설이 전혀 없는 것도 문제다. 지역 주민과 방문객이 실제로 필요로 하는 시설이 아닌, 관광·상업 위주의 개발만 진행된다면 생활 만족도는 크게 개선되지 않는다. 결국 지역민에게 돌아가는 실질적인 혜택은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위치

15073

경기 시흥시 산기대학로 237 (정왕동, 한국공학대학교) 한국공학대학교

구성원
  • 팀명

    웨이브테크

  • 팀장

    최서준

  • 팀원

    홍승균 신재우 윤도근 이정환 김지은

주장의 객관적 근거를 기재해주세요.
근거1

공실률 악화 가능성:
거북섬 주변에는 이미 지어진 상가와 건물들이 장기간 비어 있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상황에서 새로운 상업 시설이 추가로 들어서면 기존 상권과의 경쟁만 심화되어 공실률은 더 높아질 수 있다.

근거2

생활편의시설 부족:
거북섬 근처에는 영화관, 대형마트와 같은 주민들이 일상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문화·편의시설이 전무하다. 결국 지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생활 수준의 향상은 기대하기 어렵고, 개발 효과가 관광객에만 국한될 가능성이 크다.

근거3

지역 수요와 개발 방향의 불일치:
현재 진행되는 개발은 관광·상업 중심으로 기획되어 있지만, 실제 지역 주민들이 요구하는 것은 생활 기반 시설과 안정적인 상권이다. 지역 수요와 개발 방향이 일치하지 않는다면, 주민들이 체감하는 혜택은 미미하고, 오히려 지역 불균형만 심화될 수 있다.

근거의 출처를 보고서, 통계나 논문, 기사 등을 어디에서
찾았는지 URL을 기재해주세요
또는 직접 실시한 인터뷰, 설문조사, 관찰결과 등 직접 작성한
문서(hwp, doc, 메모장 등 텍스트 문서)를 업로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