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릉의 관광 자원은 오죽헌, 선교장 등 국가유산이나 바다, 카페거리와 같이 눈으로 보는 '관람형' 콘텐츠에 집중되어 있습니다. 이는 첫 방문객에게는 매력적일 수 있으나, 일회성 경험으로 끝나기 쉬워 재방문이나 장기 체류를 유도하는 데 한계가 있다.
부연설명
관광객들은 이미 "특별한 지역 특색을 못 느낀다" 거나 "콘텐츠가 부족하다" 고 느껴 장기 체류로 이어지지 못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관광객이 직접 이야기의 주인공이 되어 명주동의 골목과 공간을 능동적으로 경험하는 스토리텔링 콘텐츠가 필요합니다. 이는 단순한 관람을 넘어 개인적인 '기억'과 '경험'을 생성함으로써 강릉을 다시 찾고 싶고, 더 오래 머물고 싶은 목적지로 만들 수 있습니다.
관광객들이 저녁에 할 게 없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음.
인터뷰 응답자 중 약 80% (57명 내외) 가 “저녁에 할 게 없다 / 숙소·술자리 외엔 없다”고 답변.
저녁 시간대 콘텐츠 부족이 가장 공통적인 문제.
근거2
관광 활동의 편중이 될 수 있음.
인터뷰 응답자 대다수의 활동은 '바다 구경', '사진 찍기', '카페거리 방문', '맛집 탐방(순두부, 옹심이 등)'과 같이 시각과 미각 위주의 소비에 집중되어 있음. 이는 직접 몸으로 느끼고 참여하는 '체험형' 활동이 부족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음 .
근거3
지역 상권 관계자는 “야간에 대다수의 가게가 문을 닫아, 늦게 까지 여는 우리(명주동) 가게를 찾아오는 관광객이 많다”고 문제점을 증언하는 동시에, “지역 발전을 위한 핵심 콘텐츠가 부족하다”고 진단하며 그 해결책으로 ‘10% 할인’ 등 적극적인 협력이 가능함을 확인해주어 본 프로젝트의 필요성과 실현 가능성을 모두 입증.
근거4
KTX 개통 등으로 향상된 접근성은 오히려 '당일치기' 여행을 심화시켜, 강릉이 가진 매력이 야간 체류와 소비로 이어지지 못함.
실제 인터뷰에서 확인된 "저녁에 할 게 없어 당일치기 한다"는 응답은, 관광객의 발길이 지역 경제에 기여하지 못하고 도시 밖으로 유출되는 패턴이 고착화되고 있음. 이는 강릉의 관광 경쟁력을 약화시키는 명백한 적신호임.
근거의 출처를 보고서, 통계나 논문, 기사 등을 어디에서
찾았는지 URL을 기재해주세요
또는 직접 실시한 인터뷰, 설문조사, 관찰결과 등 직접 작성한
문서(hwp, doc, 메모장 등 텍스트 문서)를 업로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