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실록지리지

문제발굴

지역에서 문제라고 생각되는 것에 대한 주장과 주장을
설명하는 부연설명을 기재해주세요.
주장

못난이 채소(크기, 모양, 규격 등의 이유로 상품성이 떨어지는 채소류)들은 폐기되거나 폐기 방지를 위해 헐값에 판매되고 있다.

부연설명

농산물은 크기, 모양, 색깔 등의 외형 기준이 까다로워 표준에 맞지 않으면 상품성이 떨어진다 평가받는다. 이러한 채소들은 영양이나 맛에는 문제가 없지만, '비주얼'이 좋지 않다는 이유로 시장에서 외면 되는 경우가 있다. 대형 유통망은 균일성을 중요하게 여기기 때문에, 못난이 채소는 유통 과정에서 걸러지고 폐기되는 경우가 많다. 일부 농민들은 폐기를 막기 위해 로컬마켓이나 직거래를 통하여 헐값에 판매한다.

위치

63063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평화로 2715 (광령리, 제주관광대학) 관광관

구성원
  • 팀명

    테일 테일

  • 팀장

    강유진

  • 팀원

    김재혁, 권민경, 정효림, 오재원

주장의 객관적 근거를 기재해주세요.
근거1

8만t 가량의 귤(파치 상품)이 가공용으로 이용되거나 자가 시장 격리(산지 폐기) 된다.

근거2

못난이 채소를 폐기하지 않고 소비할 수 있도록 여러 기업들이 할인 판매를 진행중에 있다

근거의 출처를 보고서, 통계나 논문, 기사 등을 어디에서
찾았는지 URL을 기재해주세요
또는 직접 실시한 인터뷰, 설문조사, 관찰결과 등 직접 작성한
문서(hwp, doc, 메모장 등 텍스트 문서)를 업로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