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실록지리지

문제발굴

지역에서 문제라고 생각되는 것에 대한 주장과 주장을
설명하는 부연설명을 기재해주세요.
주장

거제시가 초고령사회로 진입하는 것은 거제의 인구 구조와 지역 경제, 복지 체계 전반에 심각한 부작용을 초래할 것이다.

부연설명

초고령사회로의 진입은 단순히 인구 고령화의 한 단계를 넘어, 생산가능 인구의 급감, 의료·돌봄 비용의 폭증, 사회적 고립 및 세대 간 갈등 심화, 그리고 지역 복지 시스템의 과부하를 동반한다. 특히 조선업에 편중된 지역 경제 구조는 노동가능 인구의 관외 유출과 맞물려 심각한 사회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위치

53333

경남 거제시 남부면 남부해안로 30 (저구리, 남부면사무소) 남부면사무소

구성원
  • 팀명

    행복스토리메이커

  • 팀장

    안은현

  • 팀원

    남성호, 문정희, 전분희

주장의 객관적 근거를 기재해주세요.
근거1

2023년 거제시의 65세 이상 인구는 약 33,622명으로 전체 인구의 14.4%를 차지하여 이미 ‘고령사회’를 넘어선 상태임

근거2

거제시는 조만간 “초고령사회 진입 대비 ‘거제시 노인정책선진화 연구회’”를 조직해 대응에 나섰으며, 초고령사회 진입 가능성을 공식적으로 인식하고 있음

근거3

거제시는 저출생 및 인구 감소 문제를 겪고 있으며, 출생아 감소와 청년 인구 유출이 지속되면서 인구 구조의 고령화 속도가 빠르게 진행 중임

근거4

농어촌 면지역을 중심으로 이미 일부 지역이 초고령사회 수준에 돌입했다는 분석이 있으며, 도시지역과 농어촌 간의 인구 고령화 격차로 인해 지역 간 복지 및 서비스 격차가 심화될 우려가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