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실록지리지

문제발굴

지역에서 문제라고 생각되는 것에 대한 주장과 주장을
설명하는 부연설명을 기재해주세요.
주장

겉모양 때문에 상품성이 떨어져 제값을 받지 못하는 '못난이 사과'가 대량으로 발생하여 농가 소득에 심각한 타격을 주고 있으며, 지속 가능한 농업을 위협하는 요인이 되고 있습니다.

부연설명

대구는 전국적으로 유명한 사과 생산지이지만, 매년 전체 수확량의 상당 부분이 흠집, 모양 불균형, 작은 크기 등의 이유로 상품 가치를 인정받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버려지거나 헐값에 팔리는 못난이 사과는 농민들의 노력을 무색하게 하고, 폐기 비용까지 발생시켜 농가 경영에 큰 부담을 안겨줍니다.

위치

41018

대구 동구 도평로116길 37 (평광동) 사과마을

구성원
  • 팀명

    MOS

  • 팀장

    정윤서

  • 팀원

    김서웅, 김세현

주장의 객관적 근거를 기재해주세요.
근거1

농촌진흥청 통계에 따르면, 매년 국내 사과 생산량의 10-15%가 '못난이 농산물'로 분류되며, 이는 유통 과정에서 폐기되거나 저가 가공용으로 처리됩니다.

근거2

농산물 시장 조사 결과, '못난이 사과'의 도매 가격은 정상 사과의 30% 수준에 불과하며, 이마저도 거래가 잘 이루어지지 않아 농가에 직접적인 손해를 입히고 있습니다.

근거3

일반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응답자의 60% 이상이 '못난이 농산물'의 가치를 잘 모르고 있으며, 구매 의사가 낮다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근거4

못난이 농산물을 활용한 가공식품 개발이 시도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시장 규모가 작고 홍보가 부족하여 농가 소득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지 못하고 있습니다.

근거의 출처를 보고서, 통계나 논문, 기사 등을 어디에서
찾았는지 URL을 기재해주세요
또는 직접 실시한 인터뷰, 설문조사, 관찰결과 등 직접 작성한
문서(hwp, doc, 메모장 등 텍스트 문서)를 업로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