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실록지리지

문제발굴

지역에서 문제라고 생각되는 것에 대한 주장과 주장을
설명하는 부연설명을 기재해주세요.
주장

거제시는 강력범죄(살인, 강도, 성폭력, 폭력 등)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아 치안과 생활 안전 측면에서 거제의 정주 매력을 상실케 한다.

부연설명

강력범죄 비율이 높다는 것은 단순히 범죄 건수가 많다는 것을 넘어서, 주민들의 체감 안전감 저하, 외부인의 지역 이미지 악화, 투자 및 관광 기피, 지역 공동체의 불신 확산 등 다양한 사회적 비용을 유발한다. 특히 거제처럼 인구 감소, 청년 유출, 노령화가 진행 중인 지역에서는 안전 요소가 정주 결정과 지역 활성화에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기 때문에, 치안 불안정은 인구 정착, 관광, 투자 유치 등 여러 측면의 악영향을 불러올 수 있다. 따라서 강력범죄의 상대적 높은 빈도는 단순한 사건 사고가 아니라 거제의 지속가능성과 공동체 회복력을 약화시키는 위기로 봐야 한다.

위치

53249

경남 거제시 중곡로1길 49 (고현동) 거제노숙인 살인사건 현장

구성원
  • 팀명

    쾌적케어

  • 팀장

    이은정

  • 팀원

    김진실, 박은애, 박혜

주장의 객관적 근거를 기재해주세요.
근거1

거제는 경남 내에서 성폭력 범죄 발생 비율이 높게 보고된 적이 있으며, 과거 조사에서 도내 18개 지자체 중 성폭력 발생 건수가 가장 많았다는 지적이 있었음.

근거2

거제 지역은 인구 대비 범죄 발생률이 경남 내 상위권에 위치했다는 과거 분석이 존재하며, 치안 불안정성에 대한 우려가 제기된 바 있음.

근거3

거제경찰서는 최근 증가한 외국인 인구를 대상으로 방범 진단을 진행하며, 외국인 밀집 지역을 중심으로 치안 취약 지대를 점검한 바 있고, 이는 범죄 위험이 증가할 수 있다는 인식이 반영된 조치로 해석됨.

근거4

거제시민 대상 조사에서, 많은 응답자들이 범죄환경 예방을 위해 “범죄 사각지대 및 지능형 범죄 예방을 위한 CCTV 확대 설치”를 우선 과제로 꼽는 등, 지역 내 안전에 대한 불안감이 상당하다는 응답이 다수 있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