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실록지리지

문제발굴

지역에서 문제라고 생각되는 것에 대한 주장과 주장을
설명하는 부연설명을 기재해주세요.
주장

거제시는 관광지 개발이 더디고, 관광 산업에 대한 전략적 투자가 부족하여 ‘조선업 중심 도시’라는 틀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관광 자원의 잠재력이 제대로 발휘되지 못하는 상태에 놓여 있다. 이는 지역 경제의 다변화와 지속 가능한 성장에 치명적인 제약 요인이다.

부연설명

거제는 해금강, 외도, 칠천량 해전터, 포로수용소 유적 등 풍부한 해양 및 역사 문화 관광자원을 보유하고 있음에도, 이러한 자원들을 체류형, 체험형, 국제관광지로 전환할 만한 투자와 콘텐츠 개발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관광지 접근성, 체류 인프라, 숙박 및 편의시설, 프로그램 설계, 관광객 유인 전략 등이 미흡하여 단발성 방문에 그치고, 머무르는 시간이 짧아 수익성과 지역 소비 효과가 제한적이다.

특히, 민간투자 유치, 관광단지 조성, 관광 운영 주체의 전문성 및 책임성 부족, 지역 주민 참여 및 협력 체계의 부재는 관광 활성화를 위한 핵심 동력이 제대로 작동하지 못하는 구조적 문제로 지적된다.

그나마 외부에 잘 알려진 공고지 수선화 군락지, 장목 매미성도 시에서 개발한 것이 아니고 순수 민간인이 본인의 노력을 투입해 개발한 개인 사유지였다. 관광도시의 민낯이 부끄럽게 느껴진다.

위치

53202

경남 거제시 장목면 복항길 29 (대금리, 매미성) 매미성

구성원
  • 팀명

    쾌적케어

  • 팀장

    이은정

  • 팀원

    김진실, 박은애, 박혜

주장의 객관적 근거를 기재해주세요.
근거1

거제시는 관광 자원의 상품화 및 체류형 관광시설, 관광지원 시설의 개발이 미흡하여 단순히 ‘관광객이 스쳐가는’ 수준에 그치고 있다는 자체 평가를 포함한 과업수행계획을 가지고 있음.

근거2

“1000만 관광 거제”라는 목표를 제시했으나, 인프라 부족, 불친절, 바가지요금, 체류 여건 미비 등의 문제가 반복적으로 지적되면서 거제 관광의 현실은 목표치에 한참 미치지 못한다는 비판이 존재함.

근거3

거제관광모노레일은 배터리 방전 및 운영 문제로 인해 여러 차례 운행 중단이 발생했고, 이는 관광 인프라 운영의 불안정성과 신뢰 부족을 보여주는 사례로 해석됨.

근거4

거제 남부관광단지의 민간투자 사업은 환경영향평가 통과 등 진행과정이 있었지만, 실제 착공 및 운영 단계로의 이행이 지연되거나 중단되어 왔으며, 토지주와 투자자들은 장기간 재산권 행사를 못한 채 사업의 불투명성에 노출되어 있다는 현장 의견이 존재함.

근거의 출처를 보고서, 통계나 논문, 기사 등을 어디에서
찾았는지 URL을 기재해주세요
또는 직접 실시한 인터뷰, 설문조사, 관찰결과 등 직접 작성한
문서(hwp, doc, 메모장 등 텍스트 문서)를 업로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