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제시는 청정 바다 조성을 위한 해양쓰레기 저감 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지만, 반복적이고 지속적인 수거에도 불구하고 해양쓰레기 발생량이 감소하지 않고 있으며, 해양환경 및 해역 이용자들의 인식 부족이 문제로 지적되고 있음.
근거2
낙동강 하굿둑 수문 개방 및 집중호우로 인해 거제 장목 해안에 대량의 낙동강 유입 쓰레기가 밀려들었는데, 2025년 기준 장목 해안에 밀려든 해양쓰레기 양은 약 250톤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전체 거제 지역의 낙동강 유입 쓰레기는 330톤 이상으로 집계됨.
근거3
거제의 어업인들이 해양쓰레기 1톤을 수거하는 활동을 벌이는 등 지역사회 정화 운동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해양쓰레기 유입의 속도 및 규모에 비해 자원과 인력이 부족해 근본적인 해결에 한계가 있음.
근거4
언론 보도에 따르면, 거제 해안은 낙동강 수계 지역 주민이 버린 쓰레기나 육상에서 유입된 폐기물까지 포함해 해양쓰레기 정리에 주민들이 과도한 부담을 지고 있으며, “X은 저거가 싸고 거제 보고 치우라?”라는 지역민의 원망 섞인 발언이 나올 정도로 반복되는 쓰레기 처리 작업이 주민들의 고통과 피로를 초래하고 있음.
근거의 출처를 보고서, 통계나 논문, 기사 등을 어디에서
찾았는지 URL을 기재해주세요
또는 직접 실시한 인터뷰, 설문조사, 관찰결과 등 직접 작성한
문서(hwp, doc, 메모장 등 텍스트 문서)를 업로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