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실록지리지

문제발굴

지역에서 문제라고 생각되는 것에 대한 주장과 주장을
설명하는 부연설명을 기재해주세요.
주장

거제는 굴이 대표 특산물이지만, 굴 껍데기(패각)의 악취 및 처리 문제, 처리비용 부담, 그리고 재활용의 한계로 인해 어촌환경과 주민 생활, 관광 및 수산업 전반에 부정적 영향을 끼치는 심각한 지역 과제로 작용하고 있다.

부연설명

굴 껍데기는 굴을 까고 남은 부산물로서 양이 매우 방대해 악취·파리 문제를 일으키며, 잘 관리되지 않을 경우 주변 해안가나 양식장 일대의 환경 위생을 크게 저해한다.

법적으로 굴 껍데기는 사업장 폐기물으로 분류되어 있어 처리 절차가 까다롭고, 비용 부담이 크며 방치되거나 불법 투기되는 사례가 빈번하다.

굴 껍데기를 비료나 사료, 성토 재료 등으로 재활용하려는 시도들이 있지만, 염분 잔존, 농가의 사용 기피, 처리 과정의 복잡성, 처리 후 품질 문제, 환경 규제 등으로 인해 실제 현장에서는 활용률이 낮고 경제성도 부족하다는 한계가 있다.

결과적으로 굴 산업 자체는 지역경제에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껍데기 처리 문제는 이익과 비용이 분리되어 ‘보이지 않는 외부비용’을 야기하고 있으며, 어업인과 지역 주민, 행정 주체 모두에게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위치

53330

경남 거제시 동부면 거제남서로 2555 (오송리, 거성수산) 거제 굴껍질 처치 곤란 현장

구성원
  • 팀명

    행복스토리메이커

  • 팀장

    안은현

  • 팀원

    남성호, 문정희, 전분

주장의 객관적 근거를 기재해주세요.
근거1

굴 껍데기 산더미는 강한 악취를 유발하고, 여름철 파리 및 해충 문제를 동반하며 주변 주민들의 민원 요인으로 지목돼 왔다는 보도가 존재함.

근거2

굴 껍데기의 재활용(비료, 패화석 비료, 성토재, 탈황제 등) 시도에도 불구하고, 염분 잔류와 농업적용상의 제약, 처리 비용, 농가의 사용 기피 등으로 인해 실질적인 활용률이 낮고 경제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있음

근거3

굴 껍데기의 불규칙한 방치와 처리 지연은 해양투기, 불법 매립, 어장 및 해안 정화 부담을 증가시키며, 지역 어업 활동과 해양 생태계에 부담을 준다는 우려가 제기됨

근거4

일부 기술적 재활용 시도를 통해 굴 껍데기를 고순도 칼슘 원료 등으로 전환하는 연구가 진행 중이지만, 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 염분 및 불순물 문제로 인해 상용화 및 대량 처리가 현실화되기까지 많은 기술적·환경적 제약이 존재한다는 평가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