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실록지리지

문제발굴

지역에서 문제라고 생각되는 것에 대한 주장과 주장을
설명하는 부연설명을 기재해주세요.
주장

부산 연안에서 불가사리의 과도한 번식과 처리 방식의 한계는 어민들의 생계와 지역 수산업 경쟁력을 약화시키고 있습니다.

부연설명

불가사리는 절단된 개체도 다시 재생할 만큼 번식력이 강한 해양생물로, 최근 기후변화와 고수온 현상으로 개체 수가 폭발적으로 증가하였습니다. 부산 연안의 전복·굴·조개류 등 패류 양식장은 불가사리의 직접적인 공격과 먹이 경쟁으로 생산량이 감소하고 있으며, 이 때문에 어민들은 양식장 관리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또한 불가사리는 어망과 통발에 대량으로 걸려 조업 효율을 떨어뜨리고, 불필요한 분류 작업에 인력과 시간이 소요됩니다. 부산시는 불가사리 구제사업을 매년 추진해 수십 톤을 수거하지만, 처리 과정에만 수억 원이 사용되고 있어 재정적 부담도 적지 않습니다. 결국 불가사리 문제는 어민의 소득을 감소시키고, 부산 수산업의 지속 가능성을 위협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위치

46041

부산 기장군 일광읍 일광로 320 (이천리, 신일수산) 신일수산

구성원
  • 팀명

    Sapotar

  • 팀장

    박세원

  • 팀원

    권윤지, 전다원

주장의 객관적 근거를 기재해주세요.
근거1

불가사리는 잘려도 다시 재생할 수 있는 특성 때문에 개체 수가 빠르게 늘어나며, 최근에는 기후 변화와 해양 생태계 교란의 영향으로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불가사리의 과도한 유입은 어로 작업을 방해하고, 패류를 주요 먹이로 삼는 습성 때문에 양식장에도 심각한 피해를 주고 있습니다. 해양수산부는 이러한 특성으로 불가사리를 대표적인 유해 해적생물로 분류하고 있으며, 이는 부산 연안 생태계의 균형을 위협하고 해양 사막화를 유도합니다. 결국 불가사리는 어민들이 양식하는 수산 자원과 직접 경쟁하여 지역 수산업의 생산성을 저하시킵니다.

근거2

부산 사하구 다대동 전복 양식장의 사례에서, 불가사리의 포식으로 인해 전복 종패 생산량이 약 80% 감소한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 이는 단순히 일부 어민의 체감 피해가 아니라, 지역 경제와 수산업 경쟁력에 직결되는 심각한 문제입니다. 불가사리가 패류를 직접 포식하거나 먹이 경쟁을 유발해 양식장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는 부산 연안 곳곳에서 반복적으로 제기되고 있습니다.

근거3

경남 사천 지역의 사례에서는 “그물을 올리면 절반 이상이 불가사리일 정도”라는 어민들의 호소가 보도되었다. 부산 연안에서도 유사한 피해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 부산 남구 용호어촌계에서는 불가사리가 꾸준히 어획되고 있습니다. 실제로 저희 팀은 이 어촌계에서 어획된 불가사리 중 일부를 직접 전달받아 연구와 시제품 개발에 활용한 경험이 있습니다. 이러한 불가사리 대량 혼획은 어업 효율성을 떨어뜨리고, 어민들에게 추가적인 분류 노동으로 이어지고 생산성 저하와 경제적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근거4

부산시는 불가사리 구제사업을 통해 매년 수십 톤의 불가사리를 수거하고 있습니다. 2016년에는 약 34.8톤을 수거해 대부분 단순 폐기하거나 소각 처리하였습니다.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처리 비용은 7,000만원 이상에 달하며, 부산시는 반복적으로 예산을 투입해야 했습니다. 그러나 불가사리를 사료·비료·의약품 원료 등으로 자원화할 수 있는 체계가 부재하여, 결국 예산 낭비와 환경 부담이 동시에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는 지역 어촌계의 소득 증대 기회를 잃는 동시에 지자체 재정에도 장기적인 부담으로 작용합니다.

근거의 출처를 보고서, 통계나 논문, 기사 등을 어디에서
찾았는지 URL을 기재해주세요
또는 직접 실시한 인터뷰, 설문조사, 관찰결과 등 직접 작성한
문서(hwp, doc, 메모장 등 텍스트 문서)를 업로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