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실록지리지

문제발굴

지역에서 문제라고 생각되는 것에 대한 주장과 주장을
설명하는 부연설명을 기재해주세요.
주장

울산 중공업 중심 지역에서 조선업 중심 산업 구조의 침체와 인구 유출, 노동환경 열악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지역 소멸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부연설명

노동자의 권익이나 비정규직 문제, 노동환경·안전 문제 등이 지역 사회 갈등 요소로 꼽히고 있으며, 지역 상권·생활 인프라의 축소로 이어지고 있다.

위치

44751

울산 남구 수암로178번길 14 (야음동, 신선여자고등학교) 3층 교무실

구성원
  • 팀명

    신선여자고등학교

  • 팀장

    20122 장서영

  • 팀원

    20607 김명진, 20620 양민지, 10727 한혜린, 10717 오주연

주장의 객관적 근거를 기재해주세요.
근거1

울산 동구는 현대중공업을 중심으로 성장한 대표적 조선업 도시였지만, 2010년대 중반부터 조선업 불황이 시작되면서 지역 경제와 인구 구조가 큰 타격을 받았다. 한국경제 기사에 따르면 동구의 주민등록 인구가 2013년 17만8천 명에서 2022년 15만1천 명으로 지속적으로 감소했다. 이는 단순한 산업 위기 수준이 아니라 지역 소멸 위험으로 이어지고 있으며, 상권 쇠퇴와 빈 점포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는 점에서 심각하다.

근거2

울산 전체 인구는 2015년 117만 4천 명을 정점으로 매년 감소하고 있다. 동아일보 보도에 따르면 청년층이 울산을 떠나는 주된 이유는 안정적 일자리 부족, 문화·복지 인프라 열악, 주거비 부담 때문이다. 이로 인해 울산의 청년 인구 비율이 점차 줄고 고령화 속도가 빨라지고 있다. 이는 단순한 산업 문제를 넘어 지역 경쟁력 약화와 직결되는 문제로, 청년층의 정착을 위한 산업 다변화와 생활 인프라 개선이 필요하다는 전문가 지적이 잇따르고 잇다.

근거3

울산은 대규모 산업단지와 조선소, 석유화학 단지가 밀집해 있는 만큼 산업재해 발생률이높다. 해사뉴스에 따르면 2025년 한 해에만 울산에서 중대재해로 6명이 숨졌으며, 노동단체는 법인과 경영 책임자에 대한 강력한 처벌을 요구하고 있다. 또한 하청·비정규직 노동자들이 상대적으로 위험한 작업에 투입되는 경우가 많아 사고 위험이 더 크다는 지적이 있다. 이는 지역사회 전반에 산업안전 관리체계 개선 필요성을 강하게 암시하고이 ㅆ다.

근거4

현대중공업 사내 하청 노동자들은 고용 안정성과 처우 문제로 지속적인 파업과 집회를 이어가고 있다. Law Leader 기사에서는 비정규직 문제를 단순한 노동 이슈가 아니라 지역사회 전체의 문제로 지적했다. 비정규직과 정규직 간 임금·복지 격차가 커지고, 하청업체 폐업 시 대규모 실직 사태가 발생해 지역경제가 직접적으로 타격을 입고 있다. 이런 문제는 지역 갈등을 심화시키고 청년층의 울산 기피 현상을 부추기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근거의 출처를 보고서, 통계나 논문, 기사 등을 어디에서
찾았는지 URL을 기재해주세요
또는 직접 실시한 인터뷰, 설문조사, 관찰결과 등 직접 작성한
문서(hwp, doc, 메모장 등 텍스트 문서)를 업로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