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실록지리지

문제발굴

지역에서 문제라고 생각되는 것에 대한 주장과 주장을
설명하는 부연설명을 기재해주세요.
주장

강원도는 고령화율이 전국 최고 수준으로, 지역 사회 전반에 인구 불균형 문제와 고령층 중심의 사회적 부담이 심화되고 있다.

부연설명

부연설명

고령화율이 높다는 것은 단순히 노인이 많다는 차원을 넘어, 노동 인구(생산가능 인구) 감소, 지역 소멸 위험 증가, 의료·돌봄 수요 급증이라는 문제로 이어짐.

특히 강원도는 다른 광역지자체보다 65세 이상 비율이 5~6%p 이상 높아, 이미 농촌·중소도시 지역은 청년층 유출로 공동화 현상이 발생 중임.

이로 인해 지자체 차원에서는 복지·보건 지출 부담이 증가하고, 동시에 재정 자립도는 낮아지는 악순환 구조가 발생하고 있음.

단순히 예산 부족 문제가 아니라, 지역 인구 구조 자체가 초고령 사회로 고착화되고 있다는 점이 핵심 문제임.

위치

25457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죽헌길 7 (지변동, 강릉원주대학교) 강릉원주대

구성원
  • 팀명

    프로젝트_D

  • 팀장

    윤태준

  • 팀원

    이영제, 이광희

주장의 객관적 근거를 기재해주세요.
근거1

강원도는 2024년 기준 65세 이상 인구 비율이 25.3%로 ‘초고령사회’ 돌입

전체 인구 중 65세 이상 비율이 25.3%로, 전국 평균보다 높음

근거2

강릉시도 초고령사회, 시 인구 4명 중 1명은 65세 이상

강릉시 고령화율 26.9%로, 지역 도시 중에서도 가장 높은 수준 중 하나

근거3

강원도 전체 고령화율 26.3%, 전국 평균(20.7%)보다 5.6%p 높음

2025년 7월 기준, 강원도의 고령화율은 전국3위 수준

근거4

강원내 다수 시·군이 소멸위험 단계 또는 고위험 단계로 분류되고 있으며, 지자체 차원 인구 감소 및 지역소멸 위기가 현실화되고 있다

강원도 18개 시군 가운데 춘천시 남면, 동산면, 북산면, 그리고 원주시 중앙동, 강릉시 왕산면 등이 소멸 심각 지역으로 분류됨. 다른 읍면동 중에서도 여러 지역이 ‘소멸 심각’ 또는 ‘위기’ 지역으로 나타남

근거의 출처를 보고서, 통계나 논문, 기사 등을 어디에서
찾았는지 URL을 기재해주세요
또는 직접 실시한 인터뷰, 설문조사, 관찰결과 등 직접 작성한
문서(hwp, doc, 메모장 등 텍스트 문서)를 업로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