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실록지리지

문제해결

지역에서 문제라고 생각되는 것에 대한 주장과 주장을
설명하는 부연설명을 기재해주세요.
주장

부산항 및 인근 부두에서는 장기 계류 및 관리 미비한
선박들이 해양오염 사고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부연설명

선박이 오랫동안 부두나 물양장 등에 계류되어 있을 경우, 노후 상태나 정비 불량, 급유관/밸브 등의 시설 노출 위험성이 커진다. 이런 선박들이 관리되지 않거나 이동 조치가 늦어지는 경우가 많으며, 이로 인해 작은 결함이 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관리가 미흡한 선박이 많을수록 사고 빈도가 올라가고, 초기 대응도 복잡해진다.

위치

48751

부산 동구 충장대로 206 (초량동, 부산항 국제여객터미널) 부산항 북항을 비롯한 장기 계류 선박이 많은 물양장 및 부두 지역

구성원
  • 팀명

    오아시스

  • 팀장

    김민기

  • 팀원

    유경민,하주완

주장의 객관적 근거를 기재해주세요.
근거1

지난해 부산지역 해양오염사고 47건 중 북항에서만 19건(전체의 약 40%)이 발생했다는 통계. 북항에는 장기계류 선박이 많다는 언급도 있음

근거2

BPA, 부산항 장기 계류 선박 실태조사” 실시한다는 보도. 이는 장기 계류 선박의 상태와 위치 등이 문제로 감지되어 조사가 필요하다는 판단이 나왔음을 암시함

근거3

부산해양경찰 통계에서 유출 사고 원인 중 “노후 선박 관리 소홀” 등이 지적됨 (“선체 노후 등 관리 소홀로 인한 파손” 사고 비중) 있음. 이는 장기 계류 및 관리 미비가 사고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증거

근거4

어촌계 방제대응센터별 방제자재 및 좌표 정보 자료에서, 일부 지역의 방제자재 수량·규격이 낮거나 유지 관리 현황이 명확하지 않음. 관리 미비 지역이 존재함

근거의 출처를 보고서, 통계나 논문, 기사 등을 어디에서
찾았는지 URL을 기재해주세요
또는 직접 실시한 인터뷰, 설문조사, 관찰결과 등 직접 작성한
문서(hwp, doc, 메모장 등 텍스트 문서)를 업로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