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실록지리지

문제해결

지역에서 문제라고 생각되는 것에 대한 주장과 주장을
설명하는 부연설명을 기재해주세요.
주장

부산항 북항 일대에서 해양오염 사고가 자주 발생하고 있으며, 이는 선박 관리 및 방제 대응 체계가 충분히 빠르지 못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부연설명

부산항 북항(예: 부산광역시 동구 충장대로 206, 부산항국제여객터미널 부근)에서는 장기 계류 선박, 컨테이너선 통항이 많은 구조적 특성 때문에 유출 사고가 다른 항만보다 비율이 높다. 해당 지역에서 사고 후 오일펜스 전개 등 초기 방제 대응 시간이 충분히 확보되지 않거나, 인력·장비 투입이 늦는 경우가 많음. 이런 구조적 취약성은 오염 확산 및 피해 증가로 이어질 수 있음.

위치

48751

부산 동구 충장대로 206 (초량동, 부산항 국제여객터미널) 북항 물양장·4‧5부두 등 인접 부두 지역

구성원
  • 팀명

    오아시스

  • 팀장

    김민기

  • 팀원

    유경민,하주완

주장의 객관적 근거를 기재해주세요.
근거1

2024년 부산지역 해양오염사고가 47건 발생했으며, 오염물질 유출량이 12.3㎘로 보고됨. 이 중 북항에서만 19건(전체 사고의 약 40%)이 발생함

근거2

사고 원인 중 하나로 “선체 노후 등 관리 소홀로 인한 파손”이 17건이나 되었다는 보고가 있음. 이는 선박 관리 측면의 취약성이 실제 사고 발생에 큰 영향을 주고 있음을 보여줌

근거3

북항 장기계류 선박 등 해양오염 취약선박이 많다”는 지적과, 북항에서는 일부 고위험 또는 방치된 선박들에 대해 강제 이동 조치가 이뤄졌다는 사실이 보도됨. 이런 조치가 필요한 정도로 북항의 방치 또는 관리 미비 상태가 인식되고 있음

근거의 출처를 보고서, 통계나 논문, 기사 등을 어디에서
찾았는지 URL을 기재해주세요
또는 직접 실시한 인터뷰, 설문조사, 관찰결과 등 직접 작성한
문서(hwp, doc, 메모장 등 텍스트 문서)를 업로드 해주세요